“중국 매출 15% 수수료 논란”…엔비디아, 미국 규제 방침에 법적 위험 경고
현지시각 27일, 미국(USA)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중국(China) 시장 매출의 15% 수수료 부과 방안과 관련해 법적 위험성을 공식적으로 경고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사안이 미국 정부의 대중(對中) 수출 규제 방침과 직접 연관돼 있어, 업계와 투자자, 양국 당국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이날 공시를 통해 “미국 정부가 중국 판매 매출에 일정 비율의 수수료 부과를 요구할 경우 법적 소송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비용 증가, 경쟁력 약화, 해외 경쟁사 이익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함께 내놨다. 콜레크 크레스 엔비디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정부가 실제로 어떤 형태의 규제를 채택할지 아직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며, 이번 결정이 미치는 불확실성을 언급했다.

미국 정부는 앞서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판매를 금지했다. 이어 최근 중국 매출의 15%를 수수료로 부과하는 방안이 논의되면서,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실적과 향후 전략에 파장이 예상된다. 미국 정부의 수출 허가 지연으로 엔비디아의 중국 내 판매는 현재 중단된 상태이며, 크레스 CFO는 “허가가 신속히 이루어질 경우엔 3분기 최대 50억 달러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정학적 긴장과 규제의 불확실성 탓에 3분기 전체 매출 전망치에 중국 매출은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미국 정부 정책과 향후 대중 규제 변화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조치와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성에 대해 미국 주요 매체들도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 전장”이라 평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역시 “미국의 추가 규제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전략과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가 어떻게 맞물릴지 업계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수료 논란이 글로벌 공급망과 미중간 기술 질서 변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양국의 기술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국제사회는 엔비디아와 미국 정부의 협의 결과와 실제 규제 집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