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비화폰 통신 기록 서버에 보관”…이명현 해병특검, 채상병 사건 수사 박차
정치

“비화폰 통신 기록 서버에 보관”…이명현 해병특검, 채상병 사건 수사 박차

박지수 기자
입력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과 대통령실·국방부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주요 당사자들의 비화폰 통신 기록이 순차적으로 수사기관에 제출되면서, 수사 추이는 정국의 중대 분수령으로 떠올랐다.  

31일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에 따르면, 특검은 대통령실과 국방부 군 관계자 등 20여 명의 비화폰 통신 내역을 최근 순차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김건희 여사,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사단장 등 핵심 인사들의 비화폰 통신 데이터도 제출받아 정밀 분석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화폰은 도감청·통화녹음 방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업무용 보안 휴대전화로, 관련 서버 자료가 수사 핵심 단서로 주목받아 왔다. 원격에서 기록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돼 논란이 거셌으나, 특검팀은 이번에 제출된 비화폰 통신 내역이 서버에 안전하게 보관 중임을 공식 확인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비화폰 통신 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서버에 (그 기록이) 보관돼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만약 삭제됐다면 그 경위에 대해서도 확인하겠지만, 일단은 보관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통신 기록 분석 이후 필요하다면 실물 비화폰을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의 비화폰 수사 본격화와 관련해 정치권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야권 일각에선 “비화폰 기록이 남아 있다면 진상 규명은 시간 문제”라고 압박했고, 여권에선 “절차와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신중론이 뒤따랐다. 전문가들은 기기 자체 뿐 아니라 서버 기록의 분석이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이번 비화폰 기록 제출과 분석이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의 풀리지 않은 진실을 규명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이에 따라 특검팀의 향후 실물 비화폰 확보 여부, 추가 소환 조사 등도 정국의 또 다른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특검은 추가 자료 확보와 통신 내역 분석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으로, 관련 기관과 협조 아래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명현해병특검#비화폰#채상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