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400건 넘어”…빈번해진 범죄, 피해자 보호 ‘경고등’

장예원 기자
입력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직적 납치 범죄가 올 들어 400건 이상 접수된 것으로 나타나며,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찰과 외교부, 현지 당국의 합동 조사에도 불구하고, 실종·감금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찰 발표와 14일 국회 질의에 따르면, 올해에만 캄보디아 내에서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가 400~500건 접수됐다. 피해자는 주로 20~30대 남성으로 확인되며, 고액 아르바이트 등 온라인 광고에 현혹돼 현지로 간 뒤 범죄 조직에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기고 감금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 실제로 지난 8월에는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고문 끝에 사망했고, 지난 7월에는 20대 남녀가 몸값 1,600만 원을 지불하고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온라인 스캠' 범죄조직과 전쟁에 나선 캄보디아 당국 합동단속반이 지난 8월 캄폿주에서 펼친 단속 작전에서 체포한 중국인들을 현지 크메르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들 중국인 3명은 지난 8월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한 뒤 숨진 사건을 수사한 현지 검찰에 의해 살인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1일(현지시간) 캄보디아 국영 AKP 통신에 따르면 전날 캄보디아 깜폿지방검찰청은 살인과 사기 혐의로 A(35)씨 등 30∼40대 중국인 3명을 구속기소 했다.
'온라인 스캠' 범죄조직과 전쟁에 나선 캄보디아 당국 합동단속반이 지난 8월 캄폿주에서 펼친 단속 작전에서 체포한 중국인들을 현지 크메르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들 중국인 3명은 지난 8월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한 뒤 숨진 사건을 수사한 현지 검찰에 의해 살인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1일(현지시간) 캄보디아 국영 AKP 통신에 따르면 전날 캄보디아 깜폿지방검찰청은 살인과 사기 혐의로 A(35)씨 등 30∼40대 중국인 3명을 구속기소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피해자 보호와 연루자 신속 송환, 관계부처 협조로 치안 당국 간 상시 공조체제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역시 “태국, 필리핀, 베트남에 설치된 ‘코리안 데스크’를 캄보디아에도 신설해 한국인 대상 범죄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 내 범죄조직은 중국계와 결탁해 온라인 사기, 인질납치, 몸값 요구 등 복합 범죄로 진화 중이다. 현지 검찰은 살인과 사기 혐의로 중국인 등 외국인을 신속하게 기소·추방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피해자 중에서는 스스로 빠져나오거나 다른 피해자를 유인해 범죄의 도구로 악용되는 등 2·3차 피해 충격도 확산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1년 반 동안 국내에서 캄보디아 관련 실종·납치 의심신고가 32건 접수됐으며, 이중 9명은 미귀국 상태로 남아있다. 정부와 수사당국은 코리안 데스크 운영, 피해자 구조, 여행경보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여전히 행정적 사각지대가 많아 실종자 파악과 사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 고수익 일자리 광고 등 미끼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하며, 국제공조·재발방지 대책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경찰 역시 “해외에서 실종·납치 의심 사례가 있는 경우 신속한 신고와 범죄 다발지역 여행 자제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코리안 데스크 신설 및 현지 대사관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피해자 탐색, 신원확인, 조기귀국 등 조치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경찰과 관계기관은 남은 실종자 확인, 재발 방지책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납치 사건은 한국인 대상 국제 범죄의 구조적 실태와 대응 체계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캄보디아납치#코리안데스크#한국인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