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부흥에 한국 역할 핵심”…크리스토퍼 랜도, 한미동맹 새 장 강조
역사적인 한미 공동팩트시트 발표를 두고 미국과 한국의 전략적 동맹이 재조명되고 있다. 미국 국무부 크리스토퍼 랜도 부장관과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제조업 부흥 정책에서 한국의 역할이 부각되며, 한미 양국의 긴밀한 산업·안보 협력이 정국의 화두로 떠올랐다.
14일 워싱턴DC ‘밴플리트 정책 포럼’ 기조연설에서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은 “한미 동맹은 새로운 장을 맞이했다”며 전날 발표한 조인트 팩트시트의 내용을 강조했다. 랜도 부장관은 “양국 정상이 좋은 관계를 유지해온 가운데, 이번 합의는 무역과 안보, 경제 번영 보호, 역내 현안 공조 등 양국 협력의 우선순위를 구체화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제조업 부흥 정책에서 “한국의 절대적 역할”을 직접 언급했다. 랜도 부장관은 “조선, 반도체, 에너지, AI 등의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정밀 제조기술을 미국 노동자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한국 전문가들의 임시 비자 발급 등 인력 교류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한미국대사관에 ‘한국 투자·통상 데스크’를 신설하고, 관련 비자 제도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내 ‘조지아 사태’로 불린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인력 단속에 대한 재발 방지 의지도 표명했다. 랜도 부장관은 “트럼프 대통령도 고정밀 분야 일자리 훈련을 위한 한국 인재 유입을 환영하는 입장”이라며, “실제 투자를 요청하는 동시에 인력 입국을 막는 것은 모순”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양국의 입장도 확고했다. 랜도 부장관은 “한미 동맹과 확장 억제 의지는 철통 같다”며 “전통적 안보협력에서 한발 더 나아가 경제·산업까지 통합된 파트너십 구축이 숙제가 됐다”고 밝혔다. 북핵 문제 관련해서도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전적으로 공감하고 있다”며, “국제의무 준수와 의미 있는 대화 재개를 북한에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수준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다. 랜도 부장관은 지난 9월 방한 당시 시위 현장을 언급하며 “한국 시민들의 다양한 토론이 인상적이었다”며 “민주주의 성숙도를 보여준 신호”라고 해석했다.
한편 조선업 등 주요 산업에서 한국의 지원을 재차 요청한 그는 “지속 가능한 동맹은 상호 이익을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미 협력 강화 조치들이 실질적 제도로 이어질 경우, 향후 동맹 발전과 첨단산업 경쟁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후 공동합의 이행과 비자 제도 개선, 핵심 산업 협력 방안 구체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