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 구상 중심으로 北과 포괄적 대화”…정동영, 남북 신뢰 회복 의지 천명
한반도 평화 구상과 남북관계 복원을 둘러싸고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국회가 맞붙었다. 정동영 장관은 14일 통일부를 대상으로 진행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 여론과 국제 정세에 부응하는 포괄적 대북대화 기조를 거듭 강조했다. 그 과정에서 윤곽이 드러난 ‘E.N.D 이니셔티브’가 새로운 남북관계 모색의 출발점이 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정부는 평화에 대한 국민의 염원을 무겁게 새기고,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모든 과정에서 평화의 원칙을 확고하고 일관되게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대북정책 3원칙을 토대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기울여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특히 정 장관은 “이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발표한 ‘E.N.D 이니셔티브는 교류, 관계정상화, 비핵화를 중심으로 포괄적 대화를 통해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하고 평화공존, 공동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정부가 북측을 대화의 장으로 견인해 한반도의 실질적 평화 증진과 남북관계 복원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정동영 장관은 국민의 참여와 국론 통합을 아우르는 대북·통일정책 마련도 약속했다. “국민참여, 국론통합의 대북·통일정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소통과 참여를 활성화하겠다. 국민께서 공감하고 지지하는 대북정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통일부는 “지난 정부 시기 사실상 형해화됐던 남북대화·교류 기능의 복원을 추진해왔다”며 “통일부 본연의 조직과 기능을 바탕으로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를 열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E.N.D 구상을 둘러싼 실효성 논쟁과 북한의 진정성 평가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그러나 통일부는 신뢰 회복과 대화 재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관된 정책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 주도권 및 한반도 평화 전환 구상이 향후 국회와 정치권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될 전망이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통일부의 포괄적 대북정책 구상과 남북관계 비전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정부는 향후 국민 소통 확대와 대화 재개를 위한 정책 검토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