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AI와 예술이 만난다”…오픈AI, 서울 창작자 랩 출범에 산업 관심
IT/바이오

“AI와 예술이 만난다”…오픈AI, 서울 창작자 랩 출범에 산업 관심

한채린 기자
입력

생성형 AI 기술이 국내 예술·디자인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오픈AI는 28일 서울에서 한국 창작자 지원 프로그램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 출범을 공식화하며, 첨단 AI 영상 생성 툴 ‘소라’와 이미지 생성 기술을 국내 창작자들에게 조기 개방한다고 밝혔다. 업계는 창작자 주도의 AI 활용 문화가 본격 확산될 ‘창작 생태계 재편’의 신호탄으로 평가한다.

 

크리에이티브 랩은 오픈AI가 전 세계 크리에이터에게 AI 도구 접근성을 높이고, 창작 영역에서 산업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운영해온 프로그램이다. 이번 ‘서울 에디션’은 한국에서 처음 진행되며, 총 21명의 아티스트가 참가해 1개월간 신기술을 활용한 독창적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참가자들은 ‘소라’와 챗GPT 기반 이미지 생성 툴을 실습, 자체 창작 및 발표를 경험하게 된다.

기술적으로 ‘소라’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고도화된 시각 영상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는 생성형 AI로, 기존 영상 제작의 물리적 한계와 심미적 창작벽을 낮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국내 창작자들은 기존 영상 편집 대비 수일~수주 이상 소요되는 작업을 대폭 줄이고, 실시간 스타일 변환·영상 합성 등 AI의 다중 알고리즘을 접목해 예술적 실험과 표현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은 창작자 중심 지원 방침을 내세운 점이 특징이다. 작품 소유권 보장, 도구의 한계 투명 공개,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네트워크 참여, 실무형 교육 등 네 가지 원칙이 명확히 제시됐다. 업계 일각에서는 AI 생성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저작권 체계 정립, 디지털 예술인 지원 정책과 연계 강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어도비 등도 창작자 대상 AI 도구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상황이다. 오픈AI는 서울이 ‘소라’ 최대 사용자 도시임을 언급하며, 한국 시장 특화 전략과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에 전략적 의의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외 창작자 대상 AI 실활용 지원 사례 확대가 산업 경쟁력에 어떤 변화를 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다.

 

정책적으로는 디지털 저작물의 원저작자 권리, AI-창작물의 저작권 분류, 데이터 투명성 등 관련 제도 보완 논의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오픈AI의 이번 프로그램은 서울디자인재단과의 협업을 통해, 2025년 세계 최대 규모 미디어 파사드 축제(서울라이트 DDP 2025 가을)에서 AI 기반 미디어아트의 실전 적용사례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AI 기반 창작 기술의 상용화는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는 동시에, 창작자 권익과 새로운 규범을 둘러싼 사회적 숙제도 남긴다”며 “기술과 예술, 정책·제도의 조화로운 접점이 예술산업의 미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실험이 실제 시장에 어떤 창작 혁신을 견인할지 주목하고 있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픈ai#크리에이티브랩서울#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