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바나나 AI 이미지, 구글이 공개”…포토샵 대체 경쟁 본격화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편집 기술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구글이 자체 개발한 '나노 바나나' AI 모델은 포토샵의 아성을 위협하며, 이미지 생성부터 편집까지 아우르는 혁신적 기능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기반 미디어 도구 개발에 앞다퉈 나서는 가운데, 이번 신기술은 이미지 저작 과정의 자동화와 창의성 한계 극복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구글은 26일(현지 시간) 블로그를 통해 첨단 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를 공식 공개했다. 이 모델은 제미나이 앱, API, 버텍스 AI, 구글 AI 스튜디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와 AI 모델 평가 플랫폼 ‘LM아레나’의 대결 기능을 통해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이미지 생성·합성 성능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프롬프트(명령어) 인식 수준과 정밀한 편집 기능이 크게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나노 바나나’ 모델은 기존 AI 이미지 생성 툴에서 취약했던 인물 일관성 유지와 2D→3D 변환 작업, 제품 합성, 화질 업스케일링, 채색 등에서 압도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동안 인공지능 생성 이미지에서 나타났던 원본 사진 인물 변형 문제가 크게 개선됐다는 증언이 이어졌다. 실제로 사진 첨부 시에도 스타일 유지를 비롯해 실물과 유사한 결과를 내, 기존 AI 이미지 툴과 차별점을 보였다. 구글은 “이미지 편집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왔고, 특히 인물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알고리즘을 핵심 과제로 삼았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제미나이 모델은 모든 생성 이미지에 시각적 워터마크와 더불어 ‘신스ID’ 디지털 워터마크도 삽입해, AI 이미지의 투명성과 신뢰도 확보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이는 생성 이미지의 오남용을 막고, 진위 식별을 지원하는 기술로 관심이 집중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드저니, 오픈AI 등 글로벌 경쟁업체들도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편집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구글의 이번 모델은 프롬프트 해석 능력과 인물 일관성 측면에서 한발 앞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유럽 역시 AI 저작물의 표식 및 디지털 워터마크 의무화 논의를 본격화하며 신뢰성 프레임을 구축 중이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이미지 자동화가 디자인, 콘텐츠, 마케팅 전반의 프로세스를 전환할 계기가 될 것"이라 내다본다. 실제로 AI 이미지에 대한 진위 식별 체계와 저작권 규정, 투명성 확보 기술이 병행될 때 디지털 생산성 혁신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