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열화상으로 미리 본다”…애플, 아이폰17 혁신 예고에 업계 촉각
IT/바이오

“열화상으로 미리 본다”…애플, 아이폰17 혁신 예고에 업계 촉각

신도현 기자
입력

열화상 이미지 같은 독특한 사과 로고가 애플의 하반기 주력 신제품 전략을 예고하고 있다. 세계 시장을 이끄는 애플이 9월 9일 신제품 발표를 공식화하면서, 현지 미디어 업계 곳곳에서 이번 ‘아이폰17’ 시리즈의 기능과 디자인 변화에 대한 분석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초대장 디자인이 신규 색상 및 고성능 냉각시스템 첫 적용을 암시하는 듯한 해석이 잇따르면서, 업계는 애플 행사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혁신의 변곡점이 될 수 있음을 주목 중이다.

 

애플은 최근 전 세계 미디어·크리에이터 대상으로 9월 9일(현지 시각) 미국 쿠퍼티노 본사에서 스페셜 이벤트 ‘Awe dropping’ 개최를 공지했다. 이번 행사는 ‘턱이 벌어질 만큼 놀라운’(jaw-dropping)과 ‘경외심’(awe)을 합친 명칭에서 볼 수 있듯 전례 없는 기술적 반전이 예고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신제품에 관한 구체 정보는 일체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유일한 단서로 남은 초대장 속 애플 로고 해석에 업계가 몰입하는 상황이다.

올해 초대장에 등장한 로고는 마치 열화상 센서로 촬영한 듯 다채로운 녹색·파란색·오렌지 계열 색상이 얼룩져 그려져 있다. 업계는 그동안 애플이 신제품 행사 초대장에 숨겨온 메시지와 관례를 들어, 이번엔 ‘아이폰17’의 컬러 라인업 확대 혹은 열 제어 기능 강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실제로 맥월드 등 주요 IT 매체는 아이폰17 프로 모델에서 짙은 파란색과 오렌지색 등 새로운 컬러가 추가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과거 애플이 채택하지 않았던 색상들이 초대장에 반영된 만큼, 사용자 경험 차별화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열화상 효과와 결부된 또 다른 해석도 제기된다. 최근 고성능 칩셋 기반으로 발열 문제가 제기돼온 아이폰이 이번 세대에서 삼성전자 등 경쟁사처럼 ‘베이퍼 챔버(증기실)’ 냉각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베이퍼 챔버는 액체가 증기로 전환하며 발생하는 에너지 흡수와 재응집 방열 원리로, 연산 부하가 큰 게임·AI 처럼 고발열 사용 환경에서 성능 저하 없이 기기를 유지시켜 준다. 아이폰은 그간 하드웨어적 냉각보다는 소프트웨어 최적화 위주였지만, 인공지능(AI) 지원 ‘애플 인텔리전스’ 시대 진입과 맞물려 하드웨어적 열관리 전환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이번 아이폰17 발표는 기존 ‘플러스’ 모델 없이 초슬림 하우징의 ‘에어’ 모델 추가, 전체 카메라 디자인 개편, 베젤 최소화, A19 프로 칩셋 채택, 프로 맥스 배터리 증강 등 상당한 변화를 예고한다. IT업계와 단말기 제조 시장에서는 애플이 불필요한 발열을 대폭 억제하면서도 고성능 인공지능 처리, 영상편집 등 고부가 기능을 안정적으로 소화함으로써 하이엔드 스마트폰 경쟁의 판을 다시 짤 수 있을지 주목한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이미 삼성전자가 차세대 냉각 솔루션을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선제 도입한 만큼, 애플의 행보는 프리미엄 시장 재편을 가늠할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업계 관계자들은 “애플 인텔리전스 구현, 신규 칩셋 안정성 확보 등은 제품 설계뿐 아니라 개인정보 처리·데이터 보안 같은 정책 이슈와도 긴밀하게 엮여 있다”며 “9월 행사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바일 산업이 다시 요동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산업계는 애플의 신기술 전략이 실제 시장 생태계에 얼마나 빠르게 안착할지, 그리고 열화상처럼 암시된 메시지들이 현실 기술로 구현될지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기술 혁신과 사용자 경험, 그리고 정책적 균형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산업 지형을 바꿀 새로운 조건이 되고 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애플#아이폰17#베이퍼챔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