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소극적 태도 지속…대화 기대 높이지 않아야” 위성락, 북한 반응 관망 주문
한미정상회담을 둘러싼 남북미 대화 가능성을 두고 외교·안보 라인과 북한이 엇갈린 신호를 보내고 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현실적으로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미국, 한국 모두와 대화 의지가 부족한 지금, 한국 정치권의 기대감이 실제 대화 재개로 이어질 수 있을지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위성락 안보실장은 “북한은 지금 굉장히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며, “우리가 너무 기대치를 높게 얘기하는 것이 북한의 호응을 유도하는 데 도움되지 않을 수 있으니, 담담하게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신중론을 내비쳤다. 남북 간 관계 개선을 바라는 여권 일각의 낙관론과 온도 차를 보인 셈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도 저조하게 평가했다. 위 실장은 “김 위원장이 APEC에 나오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이 맞다”고 했다. 다만, 김 위원장이 다음 달 중국 베이징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여할 가능성과 관련해선 “꽤 주목을 요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북중정상회담, 북러정상회담 등 북중·북러 밀착 시나리오도 열려 있다는 취지였다. 이에 더해 “북중러 3자 회담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하다”며 추가 동향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미일 협력에 대응해 북중러 밀착이 강화될지에 대해선 “그렇게 되면 국가 그룹별 분열선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동북아 안보질서가 양분될 가능성을 경고한 발언이다.
위 실장은 이번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처럼 특이한 리더십과 캐릭터를 가진 인물과는, 개인적 연대를 쌓는 일이 중요한데, 이번에 그게 구축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회담 당시 유쾌했던 분위기를 전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여성 골퍼의 선전 비결을 묻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연습하며 아버지가 옆에서 독려한다”고 답해 좌중을 웃겼던 일화도 소개했다.
정상회담 후 최종 합의문 채택이 불발된 원인에 대해선 “안보, 경제, 통상 등 각종 현안을 망라하려면 부처 및 국회 협의,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며, 절차적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의 농축산물 시장 개방 압박에 대해선 “우리는 기본 입장을 견지해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고, 원자력 협력 분야에서도 “한미가 제3국 진출 등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한국에 대한 ‘민감국가 해제’ 가능성에는 “논의는 지속되고 있으나, 단기간 내 가시적 변화가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남북미 대화 재개 전망과 북중러 협력 강화 가능성을 놓고 신중론과 낙관론이 교차하는 모습이다. 향후 북중, 북러 등 주요 정상회담 개최 여부와 북미 대화 분위기 변화가 향후 정국 변동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