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서울아레나를 한류 거점으로"…김민석 총리, 대형 공연 인프라 확대 주문

오예린 기자
입력

문화·관광을 둘러싼 정책 경쟁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서울 도심 대형 공연 인프라 확충에 힘을 싣고 나섰다. 한류 콘텐트 수요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와 서울시가 어떻게 역할을 나눌지가 정치권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서울 도봉구 창동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복합문화시설 서울아레나 건설 현장을 방문해 "아레나가 2027년 완성되면 중요한 한류의 거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아레나는 최대 2만8천명을 수용하는 대형 전문 공연장과 7천명 규모의 중형 공연장 등을 갖춘 복합 문화공간으로, 서울시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해 2027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총리는 현장 점검 뒤 "교통 및 숙박 문제를 동반해 해결해야 할 텐데 정부가 함께 추진해 가겠다"고 약속했다. 대형 공연장 조성만으로는 수용 능력이 부족한 만큼 철도·도로망, 호텔·숙박시설 확충을 포함한 입지 기반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뒷받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총리는 특히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정책 일관성을 언급했다. 그는 "서울시도 역대 시장님들을 거치며 사업이 일관성 있게 추진돼 다행"이라며 "정부도 국민성장펀드가 문화콘텐츠 산업과 공연장 등 인프라에 투자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했고,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권 교체와 관계없이 이어진 도시개발 정책에 정부 재정과 정책 금융을 연계해 속도를 내겠다는 메시지다.

 

공연 인프라의 전략적 가치도 부각했다. 김 총리는 "공연 인프라 확충은 문화 정책을 넘어 미래산업전략"이라고 규정하며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가 협력해 적극적으로 공연 시설을 확충해 달라"고 주문했다. 대형 아레나와 공연장을 관광·숙박·소비 산업과 묶어 국가 미래 먹거리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도 후속 조치 방향을 제시했다. 정부는 서울아레나를 포함해 인천 청라돔, 고양 K-컬쳐밸리 등 순차적으로 계획된 민간 공연시설의 개관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수도권에 4만명에서 5만명 규모의 대형 공연장 아레나 건립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다목적시설과 체육시설 등을 공연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연편의시설을 지원하는 사업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했으며, 향후 국회 심의를 통해 사업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 총리는 한류 인프라 전략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이후 대외전략과도 연결했다. 그는 "포스트 APEC 핵심의 하나가 문화관광"이라며 "서울아레나에 온 것을 기점으로 복합 아레나, 문화 있는 거리, 문화 있는 시장 등의 후보지를 서울과 지방 곳곳에서 찾아다니며 큰 틀에서 문화관광프로젝트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대형 공연장과 지역 상권을 연계한 전국 단위 문화관광 벨트 구상을 내놓은 셈이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 국회 심의 과정에서 관련 사업 내용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국회는 예산 심사와 함께 대형 공연장 지원의 지역 형평성과 재정 부담을 둘러싼 논의를 병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치권은 문화관광 인프라 정책을 둘러싸고 향후에도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서울아레나#문화관광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