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 비극은 현재진행형”…김민석 총리, 진상규명·유족 지원 약속
이념갈등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가운데, 여수·순천 10·19사건(여순사건) 77주기를 맞아 김민석 국무총리가 유족들과 정부가 정면으로 맞섰다. 진실규명과 국가 책임을 둘러싼 장기적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 총리는 “여순의 비극은 아직 현재진행형”이라고 언급하며 진상조사와 피해자 지원을 재차 강조했다. 피해 유족들의 절박한 호소가 이어지는 현실을 담아낸 이번 발언은 한국 사회의 분열과 화해, 그리고 역사적 책임 문제를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김민석 총리는 19일 전남 구례군 지리산 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여순사건 합동 추념식에 참석해 “정부는 진상조사기획단을 통해 진실을 낱낱이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또 “새 정부 출범으로 높아진 유족들의 기대를 잘 알고 있다. 잊지 않겠다”며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 약속을 되새겼다. 특히 “우리 사회는 이념의 굴레와 갈등 속에서 진실규명과 해원을 바라는 유족들의 절박한 호소를 온전히 해소해드리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 총리는 “최근 법원은 여순사건 피해자의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했고, 법무부는 항소하지 않고 법원의 결정을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그는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심사도 기한 내에 마무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절차적 지원 역시 빠짐없이 챙기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치권 일각에선 국가폭력 피해 진상규명 법안과 관련해 미비점 보완 및 이념 갈등 해소를 포함한 실질적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상대적으로 보수진영은 “과거사 재조명이 또 다른 이념갈등을 증폭시킬 우려가 있다”며 신중론을 부각하고 있다. 반면 진보진영은 “진실 규명만이 사회 통합과 미래 세대 단합으로 가는 길”이라는 논리를 내세운다.
이 같은 행보는 여수·순천 지역의 유족 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전문가 그룹 사이에서도 깊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법원 판결과 정부의 항소 포기 이후 여론조사에서도 피해자 지원과 진실 규명 요구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된다”며 “정부는 여순사건이 국민 모두의 역사가 되도록 화해와 통합의 길을 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진상조사기획단 중심으로 진실 규명 작업에 속도를 붙이고, 희생자와 유족 지원 마무리를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