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해킹 대응·보상 원스톱”…SK쉴더스·DB손보, 중소기업 보안 혁신
IT/바이오

“해킹 대응·보상 원스톱”…SK쉴더스·DB손보, 중소기업 보안 혁신

김서준 기자
입력

사이버보안 서비스가 보험 상품과 융합하며 중소·중견 기업의 해킹 대응 패러다임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SK쉴더스와 DB손해보험이 사이버보안 리스크 대응 및 보상 서비스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 한 단계 더 진화한 산업 보안 지원 체계를 선보였다. 업계는 이번 협력을 보안 전문성과 금융 보상 역량을 결합한 ‘원스톱 사이버 복원력 서비스’ 구축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SK쉴더스는 29일 DB손해보험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사고 대응과 보상이 결합된 새로운 보안 서비스를 공식화했다. 이번 협력은 보안 전문 인력이나 솔루션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기업이 해킹, 시스템 장애, 데이터 손상 등 사이버 위협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조기 정상화를 지원하는 데 목표를 뒀다. 핵심은 사고 발생 시 SK쉴더스가 신속·전문적으로 대응을 주도하고, 동시에 DB손해보험이 IT시스템 복구 비용, 소송 대응, 평판 보호, 업무 중단 손실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해 보상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 경보나 컨설팅을 넘어 기업의 재무적 안정까지 도와주는 원스톱 복원력(Cyber Resilience) 체계가 마련되는 셈이다.

기존 사이버보안 서비스가 주로 위험 사전 차단과 기술적 대응에 그쳤다면, 이번 모델은 피해 회복 비용까지 아우른 점이 차별화된다. 예컨대 사고 대응 서비스를 도입한 기업은 해킹 공격이 발생했을 때 곧바로 전문 보안 지원을 받고, 동시에 각종 피해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빠르게 청구할 수 있어 경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은 글로벌 사이버 보험사들이 미국, 유럽 등지에서 확장 중인 ‘보안+보상 연계’ 트렌드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사이버 사고 발생 시 실질적, 통합적 지원이 중요해지면서 보험과 보안 산업 간 협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협력에서 DB손해보험은 SK쉴더스를 보험 사고 자문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전문성 강화를 꾀했다. 양사는 향후 신규 사이버보안 보험 상품 공동 개발 등 파트너십 범위를 넓혀갈 계획도 밝혔다.

 

정부 역시 ‘디지털 위기관리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관련 보험 인증, 데이터 보호 규정 등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향후 시장 환경 변화도 주목된다.

 

업계 전문가는 “사이버 위협이 지능화되면서 단순 방어보다 사고 회복 역량, 즉 사이버 복원력이 기업 생존의 필수조건으로 부각되는 추세”라면서 “보안과 보험의 결합이 국내에서도 안착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이 시장 표준으로 자리잡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쉴더스#db손해보험#사이버복원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