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권력에 머리 조아릴 생각 없다”…곽상언, 김어준 영향력에 강경 비판
유튜브 기반 정치권 영향력 확대를 둘러싼 갈등에 더불어민주당 곽상언 의원이 연일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김어준이 진행하는 '뉴스공장' 등 친여 성향 유튜브 채널을 거론하며 내부 권력 작동 방식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곽상언 의원은 9월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1년간 뉴스공장에 한 번도 출연하지 않은 민주당 의원은 65명에 불과하다"는 언론 보도를 인용했다. 곽 의원은 "그 65명 중 한 명이 저 곽상언"이라며 "만일 이러한 유튜브 방송이 '유튜브 권력자'라면 저는 그분들께 머리를 조아리며 정치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방송에 출연하면 공천받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도 있다"며 유튜브 프로그램의 공천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어 곽 의원은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노무현 후보가 "조선일보는 민주당 경선에서 손을 떼라"며 언론권력의 정치 개입을 경계했던 사례를 소환했다. 곽 의원은 "과거엔 언론사들이 정치권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 공천과 후보 결정에까지 개입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유튜브 권력이 정치권력을 휘두르고 있다"며 당내 핵심 미디어 채널의 직접적 정치 개입 가능성을 경계했다.
뉴스공장 등 친여 유튜브 채널의 영향력에 대해 곽상언 의원이 이틀 연속 우려를 표시하면서 여권 내부에서도 언론 및 플랫폼 권력의 공천 개입, 여론형성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그는 "특정인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민주적 결정'이라고 한다"며 "오랫동안 제가 가진 정치적 문제의식과 궤를 같이한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곽 의원은 당내 미디어와 권력 구조의 투명성·자율성 확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튜브 기반 미디어의 영향력이 향후 총선 및 당내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어떠한 파장을 미칠지에 대한 논의가 가열되는 분위기다. 정치권은 뉴스공장 등 플랫폼 권력의 역할을 두고 첨예한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