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 고용지표 두 달 연속 중단”…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에 경기 우려 고조

강예은 기자
입력

현지시각 7일, 미국(USA) 노동통계국이 발표 예정이었던 10월 고용보고서가 연방정부 셧다운 영향으로 두 달 연속 중단됐다. 핵심 고용지표의 장기 공백은 월가 투자자와 정책당국에 불확실성을 안기며, 미국 실물경기와 글로벌 금융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고용시장의 점진적 냉각이 지속되는 가운데, 갑작스러운 경기 하강은 아니라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현지시각 기준 7일에 10월 고용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정부 셧다운에 따라 9월에 이어 10월에도 공식 통계 발표가 무산됐다. 노동통계국의 고용보고서는 경기 전망을 가늠하는 가장 빠른 지표로, 정책 입안자와 금융시장이 매달 주목해왔다. 이번 연쇄 발표 중단 사태는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맞물려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美 고용지표 두 달째 중단…10월 일자리 6만 명 감소 가능성
美 고용지표 두 달째 중단…10월 일자리 6만 명 감소 가능성

정식 고용지표가 두 달째 비워진 사이, 월가와 경제 전문가들은 민간 집계 자료와 지역별 통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시장 전망기관들은 10월 미국 비농업 고용자 수가 전월 대비 6만 명 이상 감소했을 것으로 예측했고, 실업률도 8월 4.3%에서 4.5%로 소폭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 고용정보업체 ADP의 10월 자료에 따르면, 민간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4만2천 명 늘어나 최근 2개월의 감소세에서 반등했다. 그러나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가 공개한 동월 보고서에서는 일자리 감축이 15만3천여 건을 기록하며 2003년 이래 10월 기준 최대치에 달했다.

 

연방준비제도 산하 시카고연은의 월간 통계에선 실업률이 4.36%로 집계되며 완전고용 수준이 유지됐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고용시장은 여전히 안정적이며, 해고와 실업 수준이 낮다”고 말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인스티튜트의 데이비드 틴슬리 선임 이코노미스트 역시 “노동시장이 둔화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붕괴의 조짐은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공식 통계 공백과 혼재된 민간 지표들은 시장의 판단력을 시험하게 했다.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미국 매체는 “지표 발표가 장기화될수록 향후 연준의 정책 결정, 증시 변동성 확대 우려가 커진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미국(USA) 고용시장의 탄력적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정부 지표 부재가 장기화할 경우 경제 전반 예측력 저하와 정책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공식 통계의 조속한 정상화가 금융시장 신뢰 회복의 관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미국(USA) 정부 통계 시스템 재가동과 고용지표 공백 해소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연방정부셧다운#고용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