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대표 선출 땐 당연히 대화”…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당정관계 해법 강조
정치적 균열이 깊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여야 대표 선출과 관련한 대화 필요성을 힘주어 밝혔다.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후보 간 대결로 압축된 국민의힘 차기 대표 경선을 두고, 대통령과 집권당 대표의 역할 구분을 강조하며 정국 안정에 방점을 찍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일본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공식적인 야당의 대표가 법적 절차를 거쳐 선출되면 당연히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표로 반탄파 인사가 선출될 경우에도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은 “탄핵에 반대하는 지도 그룹이 형성되면 용인할 것이냐는 질문 아닌가”며, “그들을 뽑은 사람들 역시 국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당의 도움을 받아 대통령이 됐지만, 당선된 순간부터는 국민 전체를 대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여당 대표의 역할 차이도 짚었다. 이 대통령은 “정 대표는 당 대 당으로 경쟁하는 입장이지만, 나는 양 진영을 통합하고 국민을 대표해야 할 입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와 달리 여야 대립이 첨예한 지금, 대통령의 거버넌스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야당과의 소통을 두고, “힘들더라도 야당과 대화는 당연히 해야 한다”고 거듭 언급했다. 반면, 정 대표의 ‘악수는 사람과 한다’는 발언과 국민의힘 인사 악수 거부 논란에 대해서는 “정 대표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최근 지지율 하락에 대한 질문에는 “왜 그런지 다 알지 않느냐”며, “국민의힘이 전당대회를 하고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또 “국정 수행에 대한 비판 역시 인정한다”며, 일시적 인기보다 국민 삶의 조건 개선을 정책 목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정치적 인기 영합에 대해선 경계도 잊지 않았다. “막 퍼주기를 하면 인기는 올라가지만 결국 골병이 든다”고 지적했다. 조세 제도 개편을 예로 들며, “세금을 없애주겠다고 하면 인기가 있을 수 있으나, 그렇게 할 순 없는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양도소득세 감면과 관련한 정책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국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직 수행의 ‘중심’ 역할을 거듭 확인한 셈이다.
이날 대통령실은 여야 대표 선출 이후에도 소통과 협치를 이어갈 방침임을 재확인했다. 정치권은 당정 간 신뢰 회복과 지지율 반등을 두고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