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인텔 9.9% 지분 인수”…대규모 투자에 반도체 업계 긴장 고조
현지시각 22일 미국(USA)에서 정부의 인텔 지분 9.9% 인수 소식이 발표되자, 인텔 주가가 5.53% 급등했다. 89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금이 유입된 가운데, 미국 정부의 자금지원과 신주인수권 도입이 시장 심리를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조치는 첨단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기술 주도권 회복을 노리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인텔은 이날, 정부가 4억3천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에 취득하며 최대주주에 오르지만 경영에는 개입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했다. 투자금은 ‘반도체법(Chips Act)’의 미집행 보조금과 국방부의 ‘보안 반도체 독립화’ 프로그램 예산에서 각각 충당된다. 인텔은 과거에도 정부 보조금 22억달러를 받아온 바 있으며, 이번 패키지로 총 79억달러까지 정부 지원이 확대되는 셈이다. 미국 정부는 5년 만기 신주인수권을 통해 최대 5%의 추가 지분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도 확보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정부는 비의결 지분만 보유하며 인텔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인텔 측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제출 자료에서 첨단 14A 공정의 외부 고객사 확보 난항, 파운드리 사업의 불확실성을 언급했다. 립부 탄 인텔 CEO는 실적 발표에서 “14A 공정 투자는 확보된 외부 고객 약속을 전제로 한다”고 밝혀, 생산능력 확대도 실제 고객 유치에 달려 있음을 내비쳤다.
미국 정부의 이번 지분 투자에 대한 시장과 업계 반응은 엇갈린다. 킨카이 찬 서밋 인사이츠 애널리스트는 “외부 고객 확보 실패 시 정부 투자도 인텔 파운드리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이터통신은 인텔이 18A·14A 등 첨단공정 수율에서 고전하면서 TSMC(대만)·엔비디아 등에 시장 주도권을 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키노 류타 가벨리 펀드 애널리스트 역시 “수율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기술적 한계는 남아있다”며, 정부 투자 효과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다니엘 모건 시노버스 트러스트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정부 지원만으로는 인텔 파운드리 생산능력 확대에 충분한 자금이 되지 않는다”며, “TSMC와의 기술 격차 해소가 여전히 과제”라고 진단했다. 인텔은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에서 20억달러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자금력 보강에 나섰지만, 첨단 고객사 유치·수율 개선 등 근본적 과제를 안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정부의 전략적 개입이 시장의 단기 기대감을 끌어올렸으나, 실질적인 경쟁력 개선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투자자 역시 정부 자금 지원과 외부 민간 투자, 시장에서의 고객 확보 실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리더십 복원 시도이지만, 인텔이 본질적 경쟁력 강화에 성공해야만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추가 투자 및 파운드리 시장 재편이 국제 반도체 산업 지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