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증거 없이 짜맞추기 수사”…김용, 유동규 진술 편중 비판
불법 정치자금 및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된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검찰 사이의 대립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김 전 부원장은 9일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검찰이 입증할 증거 없이 오로지 진술만으로 혐의를 씌웠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을 둘러싼 측근 리스크가 대법원에서 최종 판결을 앞두고 정국 핵심 쟁점으로 재부상하는 분위기다.
이날 김용 전 부원장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처음부터 검찰이 기획해서 짜맞추기 한 조작 수사이고, 증인들을 그 과정에서 회유하고 형량 거래를 한 의혹이 굉장히 짙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요 증거로 “검찰이 제시한 것은 유동규의 진술밖에 없다”며 “형량이 매우 높게 책정된 것은 검찰이 정적 제거를 목적으로 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김 전 부원장은 올해 2월 항소심에서 징역 5년의 실형을 선고받아 법정 구속됐으나, 지난달 20일 법원의 보석 결정으로 석방된 상태다. 그는 자신의 결백을 거듭 밝히며 “대법원에서 깊이 있게 사건을 들여다보면 진실을 밝혀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치적 의도에 관한 언급도 이어졌다. 김용 전 부원장은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적을 사냥하기 위해 그 측근부터 잡으려고 시나리오를 썼다”며 “대표에겐 실패했지만 저에겐 성공한 것”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작년 12월 3일 내란의 출발이 검난(檢亂)이었다고 본다.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안과 관련해 검찰의 수사 편향성과 무리한 기소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 국민의힘 등 여권은 사법 절차에 대한 존중과 대장동 비리 진상 규명을 주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고위 공직자 및 정치인 기소 과정에서 진술 증거의 비중이 커진 점, 여당과 야당 간 갈등의 고착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대장동 사건은 총선 정국과도 맞물려 정치권 내 최대 관심 현안 중 하나다. 향후 대법원 최종 판결에 따라 정치적 파장과 여론의 향방이 달라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장동 재판 결과와 관련,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