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부품 수입 관세 5년 더 낮춘다”…미국, 완화 연장에 업계 기대감
16일(현지시각), 미국(USA) 상무부가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한 관세 경감 조치의 시행 기간을 5년간 추가 연장할 계획이라고 주요 외신이 밝혔다. 이 같은 결정은 당초 2년 후 종료될 예정이던 자동차 부품 관세 완화 제도를 확대해 적용하는 것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의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취지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해 4월 포고문 이후 시행되고 있는 관세 경감 정책의 연장선이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조립 완성차의 가치 중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1년간 관세를 감면하는 한편, 이후에는 10%에 대해 관세를 계속 감면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상무부는 올해 4월부터 1년 동안 자동차 권장소비자가격 총액의 3.75%를, 다음 1년 간은 2.5%를 부품 관세 상쇄에 사용하도록 허용해 왔다.

관계 당국은 빠르면 17일 관련 정책의 5년 연장 방침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미 상무부의 이번 결정은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완성차 업계의 수개월에 걸친 로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 자동차 제조사들은 최근 수입 자동차 및 부품, 철강·알루미늄 등 원자재에 부과된 관세로 인해 생산 비용이 크게 늘어난 바 있다.
포드, GM 등 완성차 메이커는 완화된 관세 적용 기간이 대폭 확대되면서 생산비 부담 완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자동차 제조사의 증시에도 긍정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투자자 역시 새 정책이 수익 구조 개선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 전환은 글로벌 공급망과 국제무역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매체는 “관세 완화 연장은 미국 자동차 산업에 숨통을 틔워주지만, 향후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정부의 향후 관세정책 기조,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 변화가 정책 지속성의 변수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관세 완화 연장의 실질 효과뿐 아니라, 앞으로 무역 환경 변화에 따른 추가 정책 조정 가능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조치가 향후 미국 자동차 산업과 국제무역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