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솔 감성 액션 RPG”…넷마블, 나혼렙 신작 글로벌 론칭으로 게임시장 공략
액션 RPG 기술이 글로벌 게임 시장 경쟁 구도를 흔들고 있다. 넷마블이 선보인 나 혼자만 레벨업 지식재산 기반 신작은 콘솔 감성의 전투 조작을 강조해 PC 플랫폼에서의 몰입형 전투 경험을 겨냥했다. 회사는 전 세계 동시 론칭을 통해 IP 확장과 라이브 서비스 경쟁의 새 분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는 협력 플레이와 캐릭터 성장 구조를 결합한 이번 작품이 글로벌 수익 다변화 시험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넷마블은 25일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오버드라이브를 글로벌 시장에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동명 웹소설과 웹툰 IP를 활용한 액션 RPG로, 전 세계 게이머를 대상으로 동시 서비스에 들어갔다. 플랫폼은 엑스박스 PC와 글로벌 PC 플랫폼 스팀으로, 패드 기반 조작을 전제로 한 콘솔 스타일 전투 경험을 PC 환경에 이식한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이번 작품의 핵심은 전투 설계다. 최대 4인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 전투 콘텐츠를 통해 실시간 파티 플레이를 구현했고, 이용자 간 역할 분담과 스킬 연계에 초점을 맞췄다. 싱글 기반 성장형 RPG에서 멀티 협업 구조를 결합한 셈이다. 여기에 주인공 성진우의 군주화된 모습을 전면에 내세운 군주화 전투 모드는 원작 후반부의 전투 판타지를 직접 조작하는 형태로 재해석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키보드 마우스 위주의 PC 액션 RPG가 지닌 타격감 전달 한계를 좁히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패드 입력을 기준으로 설계된 타이밍 기반 회피, 연계기, 궁극기 발동 구조를 넣어 콘솔 게임 전투 조작감에 가까운 피드백을 구현했다. 업계에서는 입력 지연 최소화, 에임 보정, 진동 피드백 최적화 등 콘솔형 전투 UX 요소가 PC 플랫폼에서도 어느 수준으로 유지되는지가 흥행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 측면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 IP는 이미 글로벌 팬덤을 확보한 상태다. 애니메이션 방영과 기존 게임화 경험을 통해 인지도를 쌓은 만큼, 이번 작품은 고정 팬층과 액션 RPG 수요를 동시에 겨냥한다. 협력 전투 중심 설계는 스트리밍, e스포츠형 콘텐츠로의 확장 여지도 남긴다. 다만 PC 콘솔 크로스 시장은 고사양 경쟁작이 포진한 레드오션이어서 초반 이용자 유지와 업데이트 속도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다수의 액션 RPG가 라이브 서비스 구조를 기반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서구권 개발사의 대작이 장기 흥행을 이어가고 있고, 일본과 중국 역시 자국 IP 기반 액션 RPG로 콘솔과 PC 시장을 동시에 공략 중이다. 넷마블은 이번 작품으로 한국형 웹툰 IP와 콘솔 스타일 전투 디자인의 결합이라는 차별화 지점을 제시했다.
정책 면에서는 플랫폼별 심의와 국가별 콘텐츠 규제를 충족하는 것이 기본 과제가 된다. 주요 지역 등급 기관의 심의 기준을 만족해야 하고, 온라인 협력 전투에 수반되는 채팅과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와 청소년 보호 등 규정도 준수해야 한다. PC 플랫폼 스팀과 엑스박스 에코시스템의 정책에 맞춘 패치와 운영 체계도 병행 관리가 필요하다.
게임 산업 전문가들은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오버드라이브가 넷마블의 콘솔형 액션 RPG 역량을 검증하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본다. 한 게임 기획자는 콘솔 감성 전투를 PC에서 구현한 만큼 초기 이용자 피드백에 따라 조작 체계와 난이도 곡선을 빠르게 조정하는 라이브 운용력이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작품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해 IP와 플랫폼 다변화를 이끌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