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해적진압 역량 점검”…해양수산부-해군, 민관군 합동훈련 실시
거제 인근 해역에서 안전 항해를 둘러싼 대응 역량과 해적 진압 역량을 놓고 해양수산부와 해군, 외교부 등 정부 기관들이 긴밀히 맞붙었다. 해적 피랍 상황을 가정한 실전 훈련이 펼쳐지면서 민관군 협업체계와 우리 선박 보호 능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1일 해양수산부·외교부·해군은 경상남도 거제 근해에서 ‘청해부대 46진 해적대응 민·관·군 합동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청해부대 46진의 해외 파병을 앞두고, 소말리아 해역에서 우리 선박이 해적에 피랍된 상황을 가정해 실시됐다. 정부는 이번 훈련을 통해 관계기관 간의 위기 대응 체계를 실제로 점검하고, 선박과 선원의 구출 실전 역량을 높이려 했다.

해양수산부는 해적피해 상황 발생 시 접수 및 관계기관 통보부터 임무를 시작했다. 이어 외교부 해외안전상황실이 즉각 초동대응체계를 점검했고, 현지 인접 공관과의 공조도 테스트됐다. 청해부대 소속 최영함은 헬기와 고속단정을 투입해 우리 선원 및 선박 구출 작전을 전개했다. 해군은 해적 진압까지 신속하게 마무리하며 실전 대응태세를 끝까지 검증받았다.
정부는 “훈련을 통해 우리 선원과 선박이 어느 해역에서든 안전하고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조 체계를 강화하고, 상황 대응 역량을 증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전 세계 해역을 누비는 국적 선박과 승조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해석도 따라붙었다.
한편 최근 아프리카 해적 피해 및 해상 안전 위협이 이어지면서, 청해부대의 해외 파병과 실전 훈련의 중요성도 한층 부각되는 분위기다. 정계 일각에서는 “대응력 강화와 민관군 협조체계 고도화가 국가 해양주권 수호에 핵심적”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향후 청해부대 파병과 연계한 대응 전략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철통같은 해상 안전망 구축과, 해적 대응역량 체계적 향상을 위한 훈련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