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독립성 논란 완화”…뉴욕증시, 엔비디아 실적에 쏠린 눈
뉴욕증시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이사 해임 시도에 대한 법적 제동 소식에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다. 업계 일각의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가 일단 진정되면서 투자심리는 안정을 되찾는 분위기다. 이날 투자자들의 시선은 장 마감 후 발표될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에 쏠리며, 인공지능(AI) 산업 전반의 성장성 논란도 재점화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30% 오른 45,418.07을 기록했다. S&P500지수는 0.41% 상승한 6,465.95, 나스닥종합지수는 0.44% 상승, 21,544.27에 마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을 재차 시도했으나, 쿡 이사 및 연준 양측은 “법적 근거가 없고, 임기 중 해임 권한이 없다”며 반박하는 상황이다. 연준은 이사 임기는 법으로 보장되며, ‘사유가 있을 경우’에만 해임이 가능하다는 점을 성명을 통해 재확인했다.

이번 논란은 미 금리 정책 신뢰와 중앙은행의 독립성 문제로 번지며, 금융시장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쿡 이사 건이 단기 노이즈에 그칠 것으로 관측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곧 발표될 엔비디아 실적 등 기술주 흐름에 다시금 집중하고 있다.
특히 AI 거품 논란이 커진 가운데, 엔비디아 2분기 실적과 향후 실적 전망이 시장 전체 반등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높은 실적 기대치를 충족시킬지에 가장 주목한다. 업종별로는 산업 부문이 1% 이상 상승했고,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 대표 기술주(엔비디아, 브로드컴, 테슬라 등)와 JP모건도 모두 1%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AMD는 목표 주가 상향 영향으로 2% 올랐고, 에코스타는 무선 주파수 매각 소식에 70% 급등했다.
기타 경제지표로는 7월 미국 내구재 수주가 2.8% 감소했으나 예상치보다는 양호하게 집계됐고, 8월 소비자신뢰지수도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도 고조되며,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9월 25bp 인하 가능성이 88.3%로 집계됐다. 변동성지수(VIX)는 1.15%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준 이사 해임 논란이 재차 불거질 잠재적 리스크를 남기는 한편, 엔비디아 실적이 AI 산업 투자심리의 핵심 변수로 급부상했다고 진단한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