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반대 몽골텐트 등 불법 시설 철거 착수"...성주군, 충돌 없이 1차 행정대집행 마무리
사드 배치를 둘러싼 오랜 갈등과 성주군 행정당국이 다시 맞붙었다. 성주군이 미군 사드 기지 인근 불법 시설물 철거에 나서자, 사드 반대단체는 원불교 교당 시설만큼은 사수하겠다고 맞서며 긴장감이 고조됐다.
경상북도 성주군은 21일 오전 10시부터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미군 사드 기지 인근에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 반대단체가 설치한 불법 시설물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2017년부터 8년여간 집회와 기도회 장소로 쓰인 몽골 텐트와 컨테이너 등 4개 시설물이다.

성주군은 이날 공무원 100여 명을 현장에 투입해 대집행에 나섰으나, 오전에는 사드 반대단체의 저항으로 작업이 중단됐다. 군은 정오를 전후해 잠정 철수했다가, 반대단체 측이 자리를 떠난 오후 1시 30분께 다시 현장에 진입해 대집행을 재개했다. 행정대집행은 오후 2시 20분께 1차로 마무리됐다.
강제 철거는 쉼터로 사용되던 컨테이너와 화장실 등 2개 시설에 대해 이뤄졌다. 나머지 2개 시설은 원불교 교당으로 쓰이는 몽골 텐트와 임시 구조물로, 이들 시설은 일단 남겨졌다. 철거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성주군은 앞서 2024년 11월 사드 반대단체 측에 몽골 텐트 등 불법 시설물에 대한 철거 명령을 통보한 바 있다. 다만 당시에는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실제 행정대집행은 진행되지 않았다. 군이 약 1년 만에 현장 집행에 다시 착수하며, 사드 기지 주변 정비 작업이 본격화하는 흐름이다.
성주군 관계자는 "충돌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집회 인원들이 빠졌을 때 강제 철거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나머지 시설물도 행정대집행 기간 내에 경찰 등과 상의를 거쳐 철거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행정대집행 기간과 구체 시점은 경찰과 반대단체의 동향을 고려해 조율한다는 입장이다.
사드철회평화회의, 원불교 성주성지수호비상대책위원회 등 사드 반대단체 소속 관계자 80여 명은 이날 오전 행정대집행 대상 시설물 앞에 모여 약 2시간가량 성주군과 대치했다. 현장에서는 구호를 외치며 철거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지만, 물리력 충돌로 번지지는 않았다.
사드반대단체 관계자는 "교당을 지키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교당을 철거하려고 한다면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불교 교당이 포함된 몽골 텐트와 임시 구조물이 남아 있는 만큼, 향후 추가 철거 집행 시 재충돌 가능성이 남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찰은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이날 현장에 경력 300명을 배치했다. 겉으로 큰 충돌은 없었지만, 사드 기지 길목의 긴장을 관리하기 위한 강도 높은 경비 태세가 유지된 셈이다.
성주 사드 기지는 2016년 배치 결정 이후 계속해서 지역사회 갈등의 진원지로 지목돼 왔다. 소성리 일대에서는 매일 기도회와 집회가 이어졌고, 그 과정에서 미군 장비 반입 과정 충돌, 교통 통제 논란 등 정치·사회적 파장이 반복돼 왔다.
이번 행정대집행으로 사드 기지 주변 일부 시설물이 정리됐으나, 종교 시설로 쓰이는 몽골 텐트와 임시 구조물은 남아 있어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 성주군이 예고한 추가 대집행 수순에 사드 반대단체가 강경 대응을 시사한 만큼, 향후 현장 집회 양상과 정치권의 대응이 다시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성주군과 경찰은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남은 시설물 철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고, 사드 반대단체도 향후 대응 수위를 조율하고 있어 사드 기지 주변을 둘러싼 긴장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