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전진기지로"…국회 포럼서 특화전략 모색
북극항로를 둘러싼 국가 전략 경쟁 속에서 포항 영일만항을 거점으로 삼으려는 구상이 국회에서 논의됐다. 북극항로를 둘러싼 외교·안보와 산업 전략이 맞물리면서 영일만항을 전진기지로 육성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됐다.
25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특화전략 포럼이 열렸다.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 국민의힘 정희용 국회의원, 국민의힘 이상휘 국회의원과 경상북도, 포항시가 공동 주최한 행사다. 참석자들은 정부의 북극항로 추진 정책 흐름에 맞춰 영일만항의 역할과 특화 방향을 집중 점검했다.

포럼에서 홍현익 전 국립외교원장은 북극항로의 기회와 도전, 그리고 한 러 관계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그는 북극항로를 둘러싼 국제 정세와 안보 환경을 짚으면서 "북극항로는 한국의 해상 물류망 다변화와 에너지 안보에 중요한 변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포항이 보유한 첨단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북극해운정보센터를 포항에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북극항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는 전담 기구를 포항에 두고 외교·안보 전략과 연계해야 한다는 취지다.
물류·산업 측면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김학소 청운대학교 글로벌물류무역연구소장 겸 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은 영일만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발표했다. 정영두 한국해양진흥공사 북극항로종합지원센터장도 북극항로 이용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항만 인프라와 금융·보험 지원 체계 등을 제시하며 영일만항의 특화 전략을 설명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영일만항이 북극항로 전진기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세부적으로 논의했다. 얼음 항해에 특화된 선박 지원 체계, 특수 화물 처리 능력, 연구기관과의 협업 구조 등과 함께 포항철강·신소재·에너지 산업과의 연계 방안도 검토됐다. 지역 산업 클러스터와 북극항로 물류가 결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견이 오갔다.
제도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한 점도 강조됐다. 포항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북극항로 활성화 위원회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북극항로 정책 자문과 사업 발굴을 전담할 위원회 운영 근거를 마련해 정부 정책과의 연계를 강화하겠다는 의도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정부 방향과 연계한 실질적 사업 추진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영일만항의 입지와 연구 인프라를 거론하며 북극항로 정책에서 포항의 역할을 넓혀가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국회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북극항로와 영일만항을 논의한 만큼, 향후 정부 차원의 정책 조율과 예산 논의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치권은 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특화 전략을 국가 해운·물류 정책과 연계하는 방안을 놓고 후속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