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대전략”…국토부, 자율주행·UAM 협력 생태계 구축→산업 지형 변화
자동차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대전략”…국토부, 자율주행·UAM 협력 생태계 구축→산업 지형 변화

신도현 기자
입력

국토교통부는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를 오는 9일부터 이틀 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UAM), 이동 기본권, 교통약자 보호 등 미래 산업의 변곡점이 되는 주요 의제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는 자리다. 현대자동차, BYD 등 세계적 민간기업과 매사추세츠공대(MIT),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등 다국적 기관이 총출동하며, 혁신의 파고와 협업의 지평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콘퍼런스의 주제는 ‘함께 만드는 미래: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기술 진보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모색하는 것이 핵심으로 부상했다. 자율주행차와 UAM의 상용화 현황, 친환경 물류 및 교통의 지속가능성, 교통취약계층의 이동권 보장 등 미래 모빌리티가 갖는 다층적 의미가 국제 협력 안에서 해석된다. OECD 국제교통포럼(ITF) 및 UN 산하 기관들이 세션을 이끌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상호 보완적 발전 전략도 주목된다.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대전략…국토부, 자율주행·UAM 협력 생태계 구축→산업 지형 변화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대전략…국토부, 자율주행·UAM 협력 생태계 구축→산업 지형 변화

핵심 세션에는 드미트리 마리야신 유엔 유럽경제위원회 사무차장, 송창현 현대자동차 자율주행플랫폼 본부장 등 글로벌 오피니언리더가 기조연설에 나선다. 동아시아권 주요 연구기관과 정책 당국자들은 한·중·일 연구협력의 미래를 논의하고, 대한민국의 전략적 모빌리티 구상이 세계 주요 국가들과의 협치로 확장될 것임을 예고했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미래 모빌리티는 국민 누구에게나 차별 없는 이동 기본권을 제공할 핵심 인프라”라며, 글로벌 연대와 혁신의 중심지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포럼이 기술과 정책, 글로벌 네트워크를 집결시키며 모빌리티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는 기폭제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토교통부#현대자동차#by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