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 무인기 체공 90분”…해양경찰청, 대형 경비함정 15척에 신규 배치
해상 단속과 감시 역량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해양경찰청이 수소연료전지 기반 무인기를 대형 경비함정에 본격 투입했다. 장시간 체공이 가능한 무인기가 전면에 나서면서 중국어선 불법조업과 해양오염 감시를 둘러싼 단속 행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해양경찰청은 21일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하는 함정 탑재 무인기 15대를 신규 도입해 1천500t급 이상 대형 경비함정에 각각 배치했다고 밝혔다. 도입 시점은 2025년으로, 대형 경비함정당 1대씩 운용하게 된다.

새로 배치된 무인기는 두산 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 제조했다. 기체는 지름 1.8m, 이륙 중량 24.9㎏ 규모이며 최대 속력은 시속 72㎞다. 함정으로부터 반경 20㎞까지 비행이 가능해, 기존 시야의 사각지대를 상당 부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해양경찰청은 보고 있다.
핵심은 체공 시간이다.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하면서 체공 시간이 기존 무인기보다 50퍼센트, 약 30분 늘어난 90분에 이른다. 같은 조건에서 더 넓은 해역을 반복적으로 살필 수 있는 만큼, 야간이나 기상 악화 상황에서도 감시 공백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무인기에는 광학 카메라와 열영상카메라가 탑재됐다. 이에 따라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 실종자 수색 구조, 기름 유출 등 해양오염 감시 임무를 수행하며 확보한 영상을 해양경찰 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상황실은 이 영상을 바탕으로 경비함정과 항공기, 육상 지휘부의 대응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성수 해양경찰청 경비국장은 “기존 함정에 배치된 무인기 13대보다 체공 시간이 절반 가까이 늘어나 해상 감시 임무 수행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여성수 경비국장은 또한 수색 구조와 해양환경 보호 임무에서 무인기의 역할이 확대될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정치권과 정부는 최근 중국어선 불법조업과 해양오염 문제를 둘러싸고 해상 단속 역량 강화를 거듭 강조해 왔다. 여기에 수소연료전지 무인기가 추가되면서, 연안 어민 보호와 영해 수호, 해양환경 관리 정책에도 일정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뒤따른다.
해양경찰청은 향후 운용 데이터를 축적해 무인기 추가 도입 여부와 운용 해역 확대를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는 수소 기반 무인기와 같은 무인·무기동 장비를 단계적으로 늘려 해상 치안 공백을 줄이고, 국회는 관련 예산과 제도 개선을 다음 회기에서 이어서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