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나토 실질 협력 강화”…라드밀라 세케린스카, 방산·안보 위기 대응 강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한국 간 방산, 안보 협력 확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라드밀라 세케린스카 나토 사무차장은 2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현장에서 연합뉴스와 만나, "한국과 정치적 대화를 확대하고 공동 관심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우리의 계획"이라며 "방위산업 분야도 그 중 하나"라고 밝혔다.
세케린스카 사무차장 방한은 나토의 한국과의 전략적 연대를 강조하는 행보로 해석된다. 방한 첫날인 19일에는 비무장지대(DMZ) 방문, 국내 방산업계 최고경영자들과의 간담회를 시작으로, 20일 조현 외교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등을 잇달아 만났다.

"인도·태평양과 유럽·대서양 지역의 상호 연관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밝힌 세케린스카 사무차장은, "양 지역이 안보 우려를 공유하며, 실질적 협력을 통해 공통의 우려에 잘 대처할 것으로 믿는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그는 최근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협력 심화가 나토-한국 협력의 필연적 배경임을 강조했다.
"나토는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 강화, 그리고 북러 군사협정 체결을 우려해왔다"면서 "이런 움직임은 한반도 평화를 훼손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기름을 붓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세케린스카 사무차장은 우크라이나 상황이 국제 안보 환경을 바꿔놓았으며, 나토 회원국들이 안보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방비를 증액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 나토 회원국들은 2014년 정상회의에서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2%를 국방비로 투입하는 데 합의했지만, 최근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한 단계 더 나아간 결정이 이어졌다. 세케린스카 사무차장은 "지난 6월 나토 정상들이 2035년까지 국방비를 GDP의 5%로 증액하기로 합의했다"며, 이에 따라 연간 GDP의 최소 3.5%를 핵심 국방 수요에, 최대 1.5%를 핵심 인프라 보호·네트워크 방어·방위산업 강화에 지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쉬운 결정은 아니었으나, 반드시 필요한 선택이었다"며 군비 증강 결정을 평가했다.
세케린스카 사무차장은 북마케도니아(옛 마케도니아) 국방부 장관 출신으로, 2020년 자국의 나토 가입을 이끌었고 지난해 11월 나토 2인자 자리인 사무차장에 올랐다.
정치권과 안보 전문가들은 한-나토 간 실질적 협력이 러시아·북한·중국 등 권위주의 진영의 연대를 견제하는 신냉전 구도 속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정부 역시 방산 수출과 글로벌 방산 생태계 강화의 실익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나토-한국 간 방산 및 안보 협력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는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 외교 및 산업측면에서 나토와 실질적 협력 폭을 더 넓힐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