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클러스터 순회”…정부, 현장 기반 정책 발굴 나선다
현장 소통을 전면에 내세운 정부의 바이오산업 혁신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바이오산업이 헬스케어, 의료기기, 그린바이오 등 전방위 영역에서 차세대 국가전략산업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지역별 클러스터 지원과 기업 현장 애로 청취가 산업 성장의 열쇠로 떠올랐다. 정부는 이번 전국 현장 순회 간담회를 ‘기술 특화와 정책체계 혁신’의 분기점으로 인식한다.
8일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이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를 시작으로, 전국 8개 바이오 클러스터 주요 도시에서 ‘바이오산업 혁신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순회 간담회를 열었다. 서울·원주·대구·화순 등에 위치한 바이오 허브 현장을 직접 방문, 다양한 업종별 인프라와 기업 지원 정책의 현주소를 점검한다. 첫 회의가 열린 서울 홍릉에서는 바이오 스타트업 중심의 지원책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으며, 각 지역도 의료기기(원주), 연구개발(대전·오송), 그린바이오(익산) 등 전문 분야별 실효적 지원 방안이 논의된다.

간담회의 초점은 지역 클러스터별 바이오 기업들이 마주하는 맞춤형 정책 요구 발굴에 맞춰졌다. 현장에서는 R&D(연구개발), 규제개선, 인력 양성, 투자 접근성 등 기업들의 목소리가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특히 실제 창업 및 사업화 현장에서 발생하는 규제나 인허가, 인력수급 문제를 직접 정책에 연결하는 ‘현장 피드백 기반’ 접근이 강조됐다. 이러한 정책 발굴 구조는 기존 중앙 집권형 지원책의 한계를 넘어, 클러스터별 특화 전략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는 이미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터와 현장 중심 지원 정책이 경쟁력 복원의 핵심으로 부상한 상황이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은 현장 협업과 규제 개선을 병행하며 산업 혁신 생태계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국제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역시 규제합리화, 맞춤형 연구지원, 투자·인력육성 등 접점마다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정부는 현장 간담회에서 논의된 기업 제안사항을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정책으로 신속히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박재만 바이오산업진흥국장은 “기업의 현장 애로와 제도 개선 요구를 공유하고, 실제 정책에 반영하는 체계가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혁신의 관건”이라며 “앞으로도 소통과 현장 기반 지원으로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 소통이 기업 맞춤형 지원과 실질 규제 개선의 출발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기존 전산업형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실효성 있는 현장 기반 생태계 혁신이 산업 구조 재설계의 조건이 되고 있다는 인식도 확산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