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전산망 복구율 46.8%”…정부, 핵심 시스템 11월 정상화 예고

박진우 기자
입력

정부의 주요 정보시스템 복구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뒤 3주 만에 장애 시스템의 46.8%인 332개가 정상화되며, 전산망 안정화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행정안전부와 관리원은 핵심 1·2등급 시스템을 중심으로 복구 목표시점을 제시하면서, 정보자원 관리 체계의 중장기 전략 마련이 주목된다.

 

행안부에 따르면 16일 오후 6시 기준 정부 전산망 709개 중 332개 시스템이 복구됐다. 화재 발생 이후 복구율은 하루 새 추가로 7곳이 올라 46.8%를 기록했다. 소방청 구조생활안전활동정보, 문화체육관광부 수사지원, 인사혁신처 국외출장연수정보 등 주요 부처 기반 시스템들도 정상 운영을 시작했다. 등급별로는 1등급 31개(77.5%), 2등급 40개(58.8%), 3등급 135개(51.7%), 4등급 126개(37.0%) 등으로 복구 진행률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복구 작업의 최대 쟁점은 국민 생활에 직결된 1·2등급 288개 시스템과 나머지 시스템에 대한 시한 내 복구다. 행안부는 이달 말까지 핵심 1·2등급을, 11월 20일까지 기타 등급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 산업통상부의 전략물자관리 등 정책·공공안전과 직결된 시스템은 각각 오는 17일과 다음 주 초로 복구 시한이 확정됐다.

 

특히 미복구 20개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인프라 이전 방안을 가동하며 복구를 앞당길 계획이다. 행안부와 관리원은 소방청, 복지부 등 5개 소관부처와 협력해 이전 계획을 마련 중이며, 17일 대구센터에서 대상기관 협의회를 개최해 안정적 이전과 운영을 논의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데이터센터 장애 발생 시 신속 이중화와 클라우드 전환이 산업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정부도 기존 온프레미스(내부서버) 기반에서 벗어나, 재난·장애 대응 체계, 데이터 백업 주기 및 복구 프로토콜 고도화가 과제로 부각되는 상황이다.

 

데이터 및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 기준과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 요구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정부 정보인프라의 재해복구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며 “분산 센터, 클라우드 이중화 등 근본적 구조 개선으로 연결돼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계는 정부 주도의 정보자원 관리 혁신이 실제 행정서비스 신뢰도 제고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거버넌스 혁신 간 균형이 국가 IT기반 성장의 관건으로 떠오르는 형국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