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수도권 잔류는 잘못”…전북 의원들, 국정감사서 조직 이전 촉구
전북지역 국회의원들과 농촌진흥청 간에 첨예한 갈등이 불거졌다. 농촌진흥청 산하 일부 기구의 수도권 잔류 문제를 두고 여야 정치권과 정부 당국의 공방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극명하게 확인됐다. 전북을 지역구로 둔 의원들은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지방 이전 정책에 역행하는 행위라며 집단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17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군산·김제·부안)은 농촌진흥청 내 농업유전 자원센터, 중부작물 연구센터, 품질관리 평가과 등 여러 부서가 수도권에 남아있는 사유를 따져 물으며 “농진청은 이미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했는데, 일부 부서가 수원에 남아있을 이유가 무엇이냐”고 지적했다. 그는 “전북 지역에서는 이를 농진청의 수도권 잔류 시도로 보고 논란이 됐다. 이 부분을 분명히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식품 관련 기구들을 전주로 이전할 계획임을 공식화했다. 이 청장은 “아직 옮기지 않은 식품 관련 기구들은 전주로 이전하기로 했다”며 “세부 계획은 추후 밝히겠다”고 답변했다. 조직 이전의 시기와 규모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같은 당 윤준병 의원(정읍·고창)도 농진청 조직개편 과정에서 연구인력 일부를 수도권에 남기거나 보내려 했던 결정을 비판했다. 윤 의원은 “농진청의 이런 시도는 국토 균형 발전이라는 정부 시책에 배치되는 일”이라며 이 청장에게 사과를 촉구했다. 그는 이 청장이 답변을 머뭇거리자 “시간 없으니 빨리 입장 표명하라”고 요구하면서, 단순한 수사적 사과가 아닌 도민을 향한 책임 있는 사과를 거듭 요구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고개를 끄덕이며 “수도권에 남아있는 기구와 부서를 전북혁신도시로 옮기겠다”고 다시 한 번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농진청의 이전 약속이 구체적인 일정과 실행계획 없이 되풀이돼온 점을 들어, 실제 이전 실행 여부와 후속 조치의 이행 상황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비판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이날 국정감사는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식진흥원을 대상으로 오후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전북지역 공공기관 이전 문제는 향후 국정감사와 국회 상임위에서 반복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