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폐경기 스트레스, 울화·우울 치솟는다”…강북삼성, 6년 대규모 코호트 분석
IT/바이오

“폐경기 스트레스, 울화·우울 치솟는다”…강북삼성, 6년 대규모 코호트 분석

김태훈 기자
입력

폐경 이행기를 겪는 한국 중년 여성들이 신체적 변화 외에도 ‘울화’와 ‘우울’ 감정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연구진이 42~52세 여성 4619명을 평균 6.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폐경 단계가 진행될수록 일상에서 본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특히 울화와 우울 영역의 인지 수준이 유의하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장기 코호트 기반 연구가 국내 여성 건강관리 및 심리적 지원 정책 수립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건강검진에 참여한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표준화 설문(Perceived Stress Inventory, PSI)을 통해 인지된 스트레스 총점 및 하위 영역별(긴장, 우울, 울화)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했다. 폐경 진행을 국제적 분류 기준에 따라 네 단계(폐경 전·이행 전기·이행 후기·폐경 후)로 구분함으로써 신체-정서 변화의 상관관계를 객관화했다.

특히 울화 점수는 폐경 이행 전기부터 상승 추세가 시작돼 후기 단계에서 최고치를 기록했고, 우울 점수는 이행 초기부터 폐경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폐경 이후에는 총 스트레스 지표가 다소 내려가는 양상도 관찰됐다. 이는 중장년기 여성들이 폐경 이행기 동안 감정 조절에 뚜렷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미 미국정신의학회는 1994년 한국의 ‘화병’을 대표적 문화 특이적 스트레스 반응으로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연구진은 “한국 사회는 감정 표현 억제 경향이 강해, 울화와 같은 감정이 신체적 증상으로 전이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성과는 기존 폐경 관리를 생리적 변화에 국한해온 의료 접근을 넘어, 단계별 심리 상담과 수면 관리, 신체활동 등 정서적 맞춤형 개입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최근 영국 등에서도 폐경기 여성의 정신건강 지원책이 확대되는 추세와 맞물려, 국내 정책 환경 변화 가능성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성의 폐경 이행기는 스트레스 관리, 감정 지원을 포함한 통합적 건강관리 체계를 모색해야 하는 전환기로 보인다”며 “폐경기 정서 변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맞춤 정책이 병행될 때 실제 건강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북삼성병원#폐경여성#인지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