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봉권 띠지로 유통경로 알 수 없다”…천하람, 한은 국감서 가짜뉴스 반박
관봉권 띠지의 유통 경로 추적을 둘러싸고 여야가 또다시 충돌했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장에 관봉권이 등장하며, 가짜뉴스 논란과 검찰 은폐 의혹이 재점화됐다.
이날 한은 국감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은 1천원권 1천장이 묶인 관봉권을 직접 내보였다. 그는 “국회가 가짜 뉴스 생산지 역할을 하는 것 같아 참다못해 시중은행 관봉권을 직접 인출해왔다”고 운을 뗐다.

천하람 의원은 “드물기는 한데 관봉권을 개인이나 기업에 주는 게 규정상 아무 문제도 없고 실제 있는 일이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봉권 띠지로는 어느 은행, 어떤 창구에서 인출했는지 알 방법이 없다”며, “1천장이 맞는지, 제조책임이 잘 됐는지만 확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동료 의원들에게 관봉권을 뜯어 낱개 다발을 보여주며 유통 경로 추적이 불가능함을 재차 확인시켰다.
천 의원의 발언은 백해룡 경정이 9월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띠지가 있으면 반드시 서명되기 때문에 그 돈이 어디로 갔는지 반드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던 것에 대한 반박이다. 당시 백 경정 등의 문제 제기는 띠지 분실 논란을 넘어, 검찰이 사건을 고의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으로 확산한 바 있다.
이에 천하람 의원은 “세탁기 바닥의 코드로 마트 출처를 알 수 없는 것과 같다”며 관봉권 띠지가 추적 수단이 아니라는 점을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등은 검찰의 지폐 띠지 분실과 관련한 책임론과 은폐 가능성을 거듭 제기하며 맞섰다.
김기원 한국은행 발권국장도 “이번 사항과 관련해 본인의 생각이나 주장을 얘기하면서 혼란스러운 부분이 많았다”고 밝혀, 정책적 설명상의 혼선이 있었음을 시인했다.
정치권은 관봉권 띠지 논란을 둘러싼 공방이 향후 수사 및 국회 논의 과정에서 추가 쟁점으로 비화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