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공수처 압수수색”…이명현 특검팀, 채상병 수사 은폐 의혹 정조준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수사 은폐 및 지연 의혹에 대해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수사의 실체와 책임을 두고 양측이 맞붙으며, 특검팀의 공수처 압수수색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29일 오후,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경기 정부과천청사 내 공수처 사무실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투입해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송창진 전 공수처 수사2부장, 김선규 전 수사1부장, 박석일 전 수사3부장이 사용하던 집무실이 주요 대상이었다. 아울러 이날 오전에는 이들 전직 부장검사의 자택과 변호사 사무실 등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이 공수처 수사 지연의 구체적 배경과 은폐 정황을 따져보기 위해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당시 수사 과정에서 외압 혹은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모든 과정을 면밀히 살필 계획"이라며 강도 높은 수사 방침을 강조했다.
송창진 전 부장검사는 최근 국회에서 위증 혐의(국회증언감정법 위반)로 고발돼 특검팀 수사선상에 올랐다. 2023년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과의 질의 과정에서, 송 전 부장검사는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사건 연루 여부를 언제 알았느냐'는 물음에 "공익신고자가 조사받기 전엔 몰랐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허위 진술 의혹이 불거지며, 위증 혐의가 추가로 적용됐다.
또한 이종호 전 대표와 관련해선, 김건희 대통령 부인 측근으로 알려진 점과 '멋쟁해병' 단체대화방을 통한 로비 의혹까지 겹치며 정치권 안팎의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당시 공수처 수사 지연의 배경에 외부 압력이 작용했다는 주장도 다시 제기됐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이 압수수색을 통해 구체적 증거를 확보할 경우, 수사 외압 및 은폐 의혹이 본격 재점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법적 쟁점과 절차적 정당성이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논란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특검팀은 "확보한 자료에 대한 포렌식 분석을 신속히 마무리한 뒤 송 전 부장검사 등 관련자를 불러 사실관계를 규명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정부와 정치권은 앞으로 특검 수사의 향방과 그에 따른 정치적 파장을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