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이버 공간 신뢰 없인 AI 성장 없다”…CSK 2025, 글로벌 협력 확산 신호
IT/바이오

“사이버 공간 신뢰 없인 AI 성장 없다”…CSK 2025, 글로벌 협력 확산 신호

한지성 기자
입력

AI가 미래 산업과 국가 성장의 중심에 떠오른 가운데, 사이버 공간의 신뢰와 안전성을 강화하지 않으면 경쟁력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국가정보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사이버 서밋 코리아 2025(CSK 2025)'에서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은 “사이버 공간의 신뢰가 확보돼야만 AI 등 미래 동력의 발전도 담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CSK 2025는 ‘글로벌 사이버안보를 위한 한발 앞선 노력, 협력을 통한 신뢰 구축’을 주제로 4일간 진행되며, 국제사회·민관 협력을 통한 사이버안보 대응 전략이 핵심 논의 테마에 올랐다.

 

CSK 2025 현장에서는 AI가 산업 각 영역에서 핵심기술로 부상하는 만큼, 사이버보안이 그 성공의 기반임이 재확인됐다. 이종석 원장은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역량을 올인하고 있으나, 추가로 정교·다양해진 사이버 위협이 심각한 제약요인임을 짚었다. 특히 국가 기관, 해킹 조직 등 공격 주체들이 주요 인프라를 겨냥하는 빈도와 수법이 급증, 이제는 디지털 안보가 국민 안전과 국가 기반까지 좌우하는 국면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현장에선 이슈 해법으로 ‘초연결 사회·공동 대응’이 키워드로 떠올랐다. 이 원장은 “사이버 위협은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공동안보의 도전”이라며, 민간·공공은 물론 국가 간 실질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이런 시각에서 올해 행사에는 ▲국제정보교류 ▲AI 및 보안 신기술 컨퍼런스 ▲국제사이버훈련 ▲사이버공격방어경연 등 다양하고 대중 참여가 강화된 프로그램들이 마련됐다. 올해부터 4일 일정으로 확대되며, 생활 속의 보안 강연 및 ‘사이버보안 도전 골든벨’ 등 대국민 소통 행사도 비중 있게 편성됐다.

 

특히 이번 CSK 2025에는 24개국이 참여하는 사상 최대 규모 국제사이버훈련(APEX)이 펼쳐지며, 국가 간 실전급 대응 역량 점검이 이뤄진다. 2017년 시작해 올해 9회째를 맞는 사이버공격방어대회(CCE)에는 50개 팀이 참가, 모의공격 방어 실력을 겨루고 성적에 따라 우수팀도 선정된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기술 교류 및 실전 훈련이 ‘진화하는 사이버 위기’를 공동 관리하는 글로벌 신뢰망 구축의 척도라고 평가한다.

 

글로벌 기준에서는 미·유럽 등 주요국 역시 사이버·AI 융합 위협에 대응, 민관 협력·국제 공조 수준을 강화하는 흐름이다. 정책적으로는 데이터보호·AI윤리·신기술 보안 인증 등 다층적 대응체계 마련이 강조된다. 한국 역시 정부 주도의 사이버안보 전략과 산업계·학계 협업, 국제 룰 형성 참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CSK 2025와 같은 사회적·국제적 협력의 장이 AI 시대 국가 경쟁력의 안전판이 될 수 있을지 업계는 긴장감 속에 주시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와 함께, 글로벌 신뢰 확보 및 협력 거버넌스 마련이 미래 디지털 질서를 판가름할 결정적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원#csk2025#사이버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