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수입 1조달러 시대 오나”…미국, 재정적자 감축 기대감에 시장 주목
현지시각 기준 26일, 미국(USA) 백악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올해 관세수입이 최대 1조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단행한 신규 관세 부과로 미국 재정적자 감축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이 강조되며, 이번 조치가 국제 금융시장과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재정 건전성 확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가운데 관련 논의가 다시 부상하는 분위기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7월과 8월 사이 상당한 관세수입 증가가 있었고 8월·9월엔 더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된다”며 “우리는 5천억달러를 훨씬 넘는, 어쩌면 1조달러에 육박하는 관세수입 경로에 진입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국 관세수입은 4월 174억달러, 5월 239억달러, 6월 280억달러, 7월 290억달러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추가로 부과한 관세가 본격 시행된 8월부터는 수입액이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행정부가 의미 있는 재정적자 감축을 이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CNBC와의 인터뷰에서는 올해 관세수입만 3천억달러를 넘길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낮추려 부채 상환에 나설 예정이며, 향후 국민들에 대한 소득 보전책으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재정적자 감소 효과는 미 의회예산국(CBO) 전망에서도 확인된다. 최근 CBO는 관세 인상이 앞으로 10년간 미국 재정적자를 약 4조달러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추정치보다 1조달러 상향된 수치로, 관세 확대가 장기 재정 안정성에 실질적 효과를 미칠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글로벌 투자자와 시장에도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 증시와 외환시장은 행정부의 관세정책 기조와 재정지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규 관세 시행의 효과, 관세수입 내역과 재정적자 지표 변화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관세수입 급증이 미국의 대외무역 정책 전환점을 암시한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재정 건전성·시장 안정 기대감과 보호무역에 대한 불확실성이 동시에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향후 미국(USA)의 관세수입 추이와 재정적자 개선 속도가 미칠 영향에 주목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책 지속 여부와 글로벌 경기, 무역 관계 변화에 따라 재정지표 개선 효과 역시 가변적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국제사회는 미국 정책의 실질적 이행 여부와 그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