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 무관용 선언”…문체부, 아동폭력 근절 방침→현장 강경 행보
체육계에 만연한 아동 폭력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며, 사회적 분노가 커지는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가 누구보다 단호한 대응을 선언했다. 25일 서울 마포구 스포츠윤리센터에는 특별한 긴장감이 흘렀다. 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고, 새롭게 강화된 대응책을 점검했다.
김대현 차관은 이날 폭력과 아동학대 등 인권 침해에 대해 “가해자는 체육계에 다시는 발을 들일 수 없도록 하겠다”며 강경한 원칙을 재확인했다. 무엇보다 체육계 내부의 솜방망이식 처벌 관행을 근절하겠다는 각오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1일부터 시행된 개정 국민체육진흥법에는 스포츠윤리센터가 체육단체에 중징계와 경징계를 구분해 명확한 징계 이행을 요구할 권한이 포함됐다. 만약 체육단체가 현저히 약한 처분을 내리면 재징계를 요구할 수 있고,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국고보조금 지원도 제한된다. 피해자 등은 스포츠윤리센터의 조사 결과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같은 변화를 통해 스포츠윤리센터가 현장의 인권 보호 중심축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현장 직원들은 국민적 신뢰 회복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이며 변화에 동참하는 분위기를 보였다.
체육계 인권 보호에 대한 움직임은 이어질 전망이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조만간 충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을 찾아 선수들에게 직접 인권 보호 의지를 전할 계획이다.
한 명의 목소리가 아닌 모두의 권리를 지키려는 의지, 그것이 체육계 변화의 출발점이었다. 이번 강화된 제도가 더 이상 침묵 없는 현장을 만드는 출발선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