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으로 부산 미래 열자”…국회, 북극항로 전략 토론회 개최
부산의 미래와 국가균형발전 전략을 둘러싼 정치적 논의가 국회에서 펼쳐진다. 부산시와 국민의힘 이성권 국회의원실은 9일 국회에서 ‘부산의 미래를 논하다, 글로벌허브 특별법으로 열어가는 북극항로 시대’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지방 균형발전과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두고, 국회와 지방정부, 학계가 협력 방안을 모색하며 공방이 예상된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부산 글로벌허브 도시 특별법의 입법 추진 배경과 실질적 효과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부산시 기획관 이경덕은 “부산 글로벌허브 도시 특별법은 북극항로 개척 시대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핵심 기반”이라며 특별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해당 법안은 지난해 5월 제22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부산 지역 여야 국회의원 전원이 공동 발의한 것으로, 현재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마무리한 상태다.

이어 김태유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북극항로 시대와 부산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다. 김 교수는 “대한민국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려면, 거점항구는 반드시 부산항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전략적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극항로 개척과 글로벌 물류 중심지로서 부산의 입지 강화 필요성을 강조한다.
정민수 한국은행 지역경제조사팀장도 참석해 균형발전 정책 방향을 제안할 계획이다. 정 팀장은 “수도권 집중에 대응하려면 소수의 거점도시에 집중 투자해야 지역 간 성장 불균형 해소에 효과적”이라며, 부산 등 핵심 도시의 성장 전략을 논의한다.
정치권은 부산 글로벌허브 특별법이 국회 통과 시 국가항만 정책, 특별예산 배분 등에서 파급력이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야 모두 지역 균형발전과 부산항 글로벌화에 공감대를 보여 주목된다.
이날 토론회에서 도출된 정책 제안과 의견은 국회 입법 및 정부 정책 조정 논의에 반영될 전망이다. 국회는 관련 특별법의 신속한 처리를 주요 일정으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