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이반 조짐에 총력전”…국민의힘, 부동산·김현지 실장 국감 공세 강화
부동산 정책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격돌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 각종 부동산 규제와 만사현통 의혹이 여론의 핵심 쟁점으로 부각된 가운데, 국민의힘이 총공세에 나서면서 국회 국정감사 정국이 급변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 수치 하락세까지 이어지며, 정치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은 20일 부동산 대책 태스크포스(TF) 출범을 공식화하며, 정부·여당의 부동산 정책을 정면 겨냥했다. TF는 10·15 대책을 문재인 정부의 실패 사례에 빗대어 '서울 추방령'·'부동산 계엄'이라 칭하며, 규제가 서민 주택 구매의 꿈마저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한다. 당 핵심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는 정부·여당의 자충수”라며 “문재인 정부 때처럼 결과는 이미 나와 있다. 부동산 정책은 또다시 28전 28패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국민의힘은 서울시와의 협력 아래 실수요자 중심의 공급 확대 대책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정책위의장을 지낸 4선 박대출 의원이 TF 위원장에 내정됐으며, 국토교통위·기획재정위·정무위 등 소속 의원들이 대거 참여한다. 서울 잠실 아파트 보유 논란이 일었던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를 겨냥한 ‘갭투자’ 공세도 이어지고 있고, 이번 대책에 대한 위헌 헌법소원 움직임도 감지된다.
부동산 문제 못지않게 국민의힘은 김현지 실장 관련 의혹 제기를 강화하고 있다. 인사 개입, 대북 송금 사건 변호사 교체 개입 등 각종 의혹을 집중 제기하는 한편, 김 실장의 국감 증인 채택을 놓고 여권을 강하게 압박한다. 국민의힘은 6개 상임위에서 김 실장의 출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최소한 대통령실 소관인 운영위 출석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한다. 당 관계자는 "김 실장을 숨기려 할수록 국민적 의혹은 커지고, 정권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적 불만이 반영되는 양상이다. 지난 16일 발표된 NBS 여론조사(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10월 13~15일, 표본 1천 명, 95% 신뢰수준 ±3.1%포인트)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39%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래 처음 40% 아래로 떨어졌다.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는 56%로 직전 조사 대비 1%포인트 하락했다.
정가에서는 여권 내 계엄·탄핵 논란, 부동산 정책 혼선, 만사현통 의혹 등이 맞물리며 수도권 민심이 추가적으로 이반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국민의힘은 부동산 정책 실패를 지속적으로 부각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 등 핵심 지역 민심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국회는 국정감사 중반부를 맞아 부동산·김현지 실장 이슈를 놓고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은 여론의 변화가 정국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며, 국정감사 막바지까지 치열한 대치 국면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