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민 안전에 최종 책임”…이재명 대통령, 미국 내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책임감 피력
정치

“국민 안전에 최종 책임”…이재명 대통령, 미국 내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책임감 피력

정유나 기자
입력

미국에서 한국인 근로자가 대규모로 구금된 사태를 두고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실에서 책임감을 표명하며 부당한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과 국민 사회에선 국민 안전을 둘러싼 대통령의 ‘직접 챙기기’ 메시지가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갑작스러운 일에 많이 놀라셨을 텐데,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으며, “관계부처는 모든 분이 안전하게 돌아올 때까지 상황을 계속해서 세심하게 관리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양국의 동반 발전을 위한 우리 국민과 기업 활동에 부당한 침해가 가해지는 일이 다시는 재발하지 않길 바란다”며, 이번 사태의 재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한미 관계의 신뢰를 동시에 언급했다. 이어 “정부는 유사한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미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합리적 제도 개선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실질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상호 신뢰와 동맹 정신에 따라 교섭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대통령 발언에 대해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재발 방지와 국익 수호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여권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고, 야권에서도 “모든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국적을 달리해선 안 된다”며 초당적 협력을 촉구했다. 동시에 외교라인 실무 협의가 얼마나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을지, 미국과의 소통 절차도 주목되고 있다.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실질적 성과”와 “합리적 제도 개선”을 주문한 데 대해 기대감과 신중론을 동시에 내놨다. 외교적 긴밀 협의가 실제 제도 변화로 이어지려면 협상력 강화와 동맹 신뢰 회복 등 과제가 남았다는 분석도 나왔다.

 

향후 미국과의 제도 개선 협의와 현장 대응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정치권과 외교부의 한미관계 관리 역량이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대통령실은 관계부처에 “국민 전원 귀환까지 긴장감을 유지해 달라”며, 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미국구금사태#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