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달러 변동성 1년 만에 최저”…미국, 무역긴장 완화에 시장 안정세 전망

서윤아 기자
입력

현지시각 9일, 미국(USA)발 무역갈등이 완화되면서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단기 변동성이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지속된 시장의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는 신호가 감지되며, 주요 통화 간 옵션시장 변동성도 진정세다. 이번 동향은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 교역 상대국 간 관세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세계 주요 중앙은행 정책의 변화가 맞물리면서 나타났다.

 

CME그룹에 따르면, ‘유로-달러 CVOL 인덱스’와 ‘엔-달러 CVOL 인덱스’가 작년 11월 트럼프 당선 직후 급등 후 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 CVOL 지수는 옵션시장이 예측하는 향후 30일간 달러 움직임의 변동성을 보여준다. 달러 가치의 대표 지표인 달러인덱스(DXY) 역시 최근 들어 급락분을 만회하며 트럼프 당선 전 수준을 회복했다. 이는 시장 내 달러 약세 흐름이 주춤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달러 변동성 1년 만에 최저…무역긴장 완화에 DXY도 반등
달러 변동성 1년 만에 최저…무역긴장 완화에 DXY도 반등

올해 4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공식 선언한 뒤 글로벌 외환시장은 하루 거래량이 10조달러에 육박할 만큼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이 여파로 경기침체와 고물가 우려에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부상했고, 트럼프의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압박 속에 달러지수는 수십 년 만에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미국 증시가 ‘타코(Trump Always Chickens Out) 트레이딩’ 효과로 회복세를 타면서, 달러 역시 점진적으로 강세 전환 및 안정세에 진입했다.

 

ING리서치의 크리스 터너 책임자는 “글로벌 시장은 트럼프와의 공존법을 터득하는 중”이라며, “투자자들은 각종 뉴스에 대해 신중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도이체방크의 조지 사라벨로스 애널리스트도 무역긴장 완화와 재정정책 조정 효과를 거론하며, “달러 변동성 하락은 트럼프발 충격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PGIM의 로버트 팁 채권 헤드는 “미국 예외주의가 약화된다는 분석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달러의 강세 기조는 여전하며, 최근 약세는 일시적 조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달러 변동성 진정은 세계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을 일부 완화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주요 매체는 “거대 교역국 간 갈등이 완화되자 자산시장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달러 변동성 추가 하락 여부는 미-중, 미-EU 관세 협상 및 세계 중앙은행의 금리 기조, 미국 내 정치 리스크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변동성 축소가 곧 시장 위험의 종식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투자자들은 정책 변화와 교역 환경의 유동성을 계속 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미국 달러의 향방이 글로벌 질서에 미칠 영향과 변동성의 지속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서윤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달러#무역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