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돼지고기 첫 중국 수출”…양국 농산물 무역 확대에 기대감
현지시각 10월 15일, 중국 상하이에서 카자흐스탄(Kazakhstan) 정부와 중국(China) 정부가 돼지고기 및 내장류 수출을 허용하는 통관 협정을 공식 체결했다. 카자흐스탄산 돼지고기가 중국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번 조치가 양국 간 농산물 교역 확대의 주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카자흐스탄은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 식품시장을 겨냥해 농업 및 축산물 수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번 협정은 5월에 이루어진 가금류 통관 협정에서 한 단계 더 진전된 성과다.
체결된 협정에 따라, 카자흐스탄은 냉동·냉장 돼지고기와 식용 가능한 돼지 내장류를 정식으로 중국에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현지 농업부에 따르면, 이 밖에도 곡물, 사료, 지방종자(유채, 아주까리, 참깨 등)에 대한 수출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추가로 체결됐다. 이에 따라 중국업체들은 카자흐스탄의 파종 단계부터 곡물·사료 수확물을 사전에 ‘선물(future) 구매’하는 계약도 가능해졌다.

카자흐스탄 농업부 아이다르베크 사파로프 장관은 “카자흐스탄이 연간 300만~400만 톤의 곡물 및 사료를 중국에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양국 간 농산물 무역은 올해 1~7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8% 늘어난 9억9,230만달러(약 1조4천억원)를 기록했다. 2023년 한 해 농산물 무역액은 14억달러에 달했다.
카자흐스탄은 국토면적 세계 9위이자 세계 6위 밀 수출국으로, 작물 경작 잠재력이 크지만 현실적으로 30%가량만 경작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에 등록된 카자흐스탄 업체도 2,800여 곳에 달하며, 이들 기업이 농산물 및 축산물 대중 수출에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양국 통관 협정과 농산물 무역 확대를 두고 현지 농업계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농업 및 축산업의 성장과 경제 교류 폭이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중국 매체도 이번 수출 성사를 양국 경제협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교역 확대가 중앙아시아 지역의 식량 및 농산업 공급망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농산물 수출 대상국 다변화와 파종·유통 단계의 협업 확대 등 구조적 변화를 촉진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사회는 통관 절차 현지 이행 및 양국 무역 확대가 어떤 실질적 결과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