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글로벌 기후기술 공동연구 확대”…과기정통부, 해외 29개 기관 협력 선언
IT/바이오

“글로벌 기후기술 공동연구 확대”…과기정통부, 해외 29개 기관 협력 선언

장서준 기자
입력

수소 활용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등 첨단 기후기술이 산업 구조 전반을 바꾸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포럼을 열고,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대규모 공동 연구 프로젝트 추진을 공식화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 기술의 해외 실증과 국제 파트너십이 촉진될 전망이다. 업계는 이 같은 글로벌 협력 강화가 기후기술 산업의 ‘경쟁력 재편’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의 올해 협력 사업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 일본 와세다대, 독일 브란덴부르크 기술대 등 전 세계 12개국 29개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주요 목표는 수전해전지(물의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 장치) 내구성 향상과 무탄소 에너지 생산 등 기후기술의 산업적 활용성 제고에 있다. 이를 위해 해외 우수기관과의 현장 실증 및 기술 교류를 강화하게 된다.

특히 수소 생산과 CCU 기술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핵심적 역할을 하며,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 생산공정 대비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가 클 것으로 평가된다.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개선을 통해 수소 경제 상용화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의 실증 단계 확대가 글로벌 기후 대응 경쟁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 관점에서 이번 공동연구는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와 글로벌 표준화 전략에 연계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통로로도 기능할 전망이다. 글로벌 주요국 역시 미국, 유럽연합, 일본을 중심으로 수소·CCU 연구와 실증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서 선점 경쟁이 심화된 상황이다.

 

기후기술 사업의 본격 확대에는 정책·제도적 기반도 중요하다. 과기정통부는 유엔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와의 협력 경험을 토대로, 데이터 교류와 연구자 이동, 실증 거점 구축 등 협력 환경을 한층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지난해 전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의 현실이 기후위기 대응 기술의 글로벌 공동개발 필요성을 재확인시켰다”며 “보다 다양한 국제 협력 과제를 발굴해 기후기술 분야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글로벌 기후기술 협력이 실제 시장 확산과 기술 고도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연구협력의 균형이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의 관건이 되고 있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기후기술#공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