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데이터 신뢰성 논란”…미국, BIS 해임·백악관 비판에 금융시장 촉각
현지시각 8일, 미국(USA) 노동통계국(BIS)이 8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 수치를 2만2천명으로 발표하며 시장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동시 통계가 잦게 정정되는 상황에서 백악관이 BIS 통계 산출방식에 비판적인 보고서를 준비하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 공공 통계의 신뢰성과 정부 간섭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다.
노동통계국은 현지시각 8일 8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전월 대비 2만2천명 증가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7만5천명 증가 전망치보다 현저히 낮은 값이다. 아울러, 6월 일자리는 기존 '2만7천명 증가' 수치가 '1만3천명 감소'로 대폭 하향되는 등 과거 통계의 반복적 수정도 이어졌다. 7월 고용은 최근 7만9천명 증가로 상향 정정값이 발표됐다.

고용통계정정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통계가 정치적으로 왜곡됐다고 주장하며,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임명한 에리카 맥엔타퍼 BIS 국장을 해임했다. 후임으론 보수 성향 헤리티지재단의 E.J. 앤토니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지명되었으며, 연방 상원 인준만을 남겨두고 있다. 아울러,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가 작성한 백악관 공식 보고서가 BIS 통계정정 내역과 산출 방식의 역사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는 사실이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이런 고용통계 논란은 공식 통계 신뢰 훼손과 더불어 경제·금융시장 불안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BIS 국장이었던 에리카 그로셴 전 국장은 “이런 움직임이 통계기관을 무기화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지 우려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미실물결제협회(NABE)도 공식 논평을 통해 “통계 신뢰 상실은 금융시장 변동성, 투자 위축, 차입비용 증가, 성장 둔화 등 심각한 파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백악관은 해당 보고서 준비가 인사 개입과 무관하다고 해명하고 있다. 테일러 로저스 백악관 대변인은 “경제통계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의 일환이며, 지도부 해임 의도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와 상무장관 등 주요 당국자들은 향후 통계기관의 통제 강화 의사를 내비치며 이 논란이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워싱턴포스트와 CNN 등은 이번 미국(USA) 고용통계 논란을 “경제정책 신뢰의 시험대”로 평가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 사안을 미국 공공 데이터 시스템의 독립성과 글로벌 금융시장 신뢰 유지에 중대한 분수령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미국 경제와 국제 관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