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상용비자 활동 범위 확대 촉구”…조현 외교부 장관, 미측에 숙련공 파견 보장 요구
정치

“상용비자 활동 범위 확대 촉구”…조현 외교부 장관, 미측에 숙련공 파견 보장 요구

서현우 기자
입력

단기 파견 숙련공의 미국 활동 범위를 두고 한국 정부와 미국 이민당국이 충돌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 출장 중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만나 B1 등 상용비자 활용의 모호성을 해소해 달라며 적극적 협의를 요청할 계획이다. 최근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기업 인력이 미국 내 공장 셋업 과정에서 현지 단속에 적발되는 사태가 불거졌고, 이 사건을 계기로 한미 양국 간 비자 해석을 둘러싼 갈등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9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단기 파견 기업인들이 B1 비자만으로도 공장 설치 등 핵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해석을 명확히 해달라며 미국 국무부와 조율에 나선다. 실제 B1 비자 세부 규정상 “특정 조건 충족 시 해외 구매 산업장비 설치·유지보수 등 제한적 업무”는 가능하도록 명시돼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과 국토안보수사국이 B1 비자 소지자까지 적발·체포하면서 혼란이 커졌다. 업계에서는 이미 주한 미국대사관으로부터 장비 설치 및 시운전 지원이 가능하다는 유권해석까지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선 미 이민당국의 엄격한 집행이 반이민 정서 심화와 맞닿아 있다고 분석한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외국 투자기업의 미국 인력 파견 애로를 직접 언급하며 “어려움 해결을 약속하겠다”고 밝힌 만큼, 한미 정부 간 입장 조율 가능성도 언급된다. 정부 관계자는 “연방정부 내 해석만 통일되면 대부분 현장의 문제가 풀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한국기업 단기 파견 인력을 위한 별도 비자 신설, 주재원 비자(L1) 취득 기준 완화 등 제도 개선도 미측에 지속적으로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E-4’ 등 전용쿼터 신설에도 힘을 싣는 모습이다. 과거 ‘한국 동반자법’ 추진이 거듭 좌절됐지만, 이번 사태로 미측 실익과 투자유치 측면에서 국내외 모두 비자 확장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정치권과 산업계 모두 공장 완공 지연 등 대미 투자 축소 우려를 거론하며, 한미간 비자제도 개선에 힘을 싣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전환점 삼아 미국과 실질적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현 장관과 미 국무부는 조만간 후속 실무 협의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상용비자#b1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