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의장·김정은, 구면 관계 강조”…우상호, 중국 전승절 계기 조우 가능성 언급
남북 고위 인사들이 '구면'임을 강조하며 중국 전승절 행사에서의 조우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은 8월 28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의 워크숍 자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우원식 국회의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에 나란히 참석하는 상황에 대해 언급했다.
우상호 수석은 "우 의장과 김 위원장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 때 같이 술 한 잔도 하고, 서로 잘 아는 사이"라며 "김 위원장이 모르는 척은 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원식 의장의 가족관계를 설명하면서 "우 의장 가족이 북한에 살고,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도 했던 특수관계"라며 "만나면 좋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공식 접촉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우상호 수석은 "회담이나 스탠딩, 이런 형식은 불가능하다고 본다"며 "북한이 그런 프로토콜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혹시 리셉션 같은 곳에서 잠깐 수인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추측"이라고 덧붙였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시절인 2018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환영 만찬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만난 경험이 있다. 그는 당시 김 위원장에게 "아버지의 고향은 황해도이고, 그곳에 누님 두 분이 계신다. 어머니는 102세인데 누님들을 보고자 기다리고 계신다. 아내도 함경도 단천 출신이라 이산가족의 아픔이 있다"고 말했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소개한 바 있다.
이번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에 우원식 의장이 사실상 정부 대표로 참석하는 가운데, 북한 역시 김정은 위원장 참석을 공식 확인했다. 이에 따라 양측의 우연한 만남이 현실로 이어질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공식 회담이나 면담의 가능성은 낮게 점쳐지는 상황이다.
정치권은 남북 고위급 인사의 동선이 겹치는 가운데, 향후 한반도 정세에 어떤 함의가 있을지 신중한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공식 접촉 가능성을 배제하면서도 행사 기간 예기치 않은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