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조 국민성장펀드로 첨단산업 견인”…이재명, 국가 역량 총집결 주문
미래 전략산업 투자를 둘러싸고 정치권과 정부, 그리고 주요 기업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10일 대통령실은 서울에서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 조성 계획을 알리는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산업 육성에 국가적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당초 정부는 5년간 100조원 펀드 조성을 목표로 했으나, 논의 끝에 투자 규모를 50조원 늘려 150조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미래 경제산업의 핵심 전장이라 할 AI 분야에서 앞서가기 위해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며 “미래전략산업 성장의 마중물인 국민성장펀드의 차질 없는 출범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국민성장펀드를 활용해 공공, 경제, 사회 각 분야의 AI 전환(AX)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반도체·바이오·에너지 등 미래 전략산업에 과감한 투자를 견인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장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등 경제계 주요 인사와 더불어 박상진 산업은행 신임 회장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대통령실은 정책 실장단도 총출동해 AI미래기획, 경제성장, 전 분야에 걸친 신속 대응 의지를 보였다.
정치권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을 비롯해 민병덕, 허영 정무위원 등 여당 정무위원들이 자리를 함께 해 투자 확대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대규모 성장펀드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가 기업 투자 심리 개선, 일자리 창출, 미래 주도권 선점에 중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예산 집행 구조와 펀드 운용 투명성, 민간 참여 확대 방안 등은 향후 국회와 정부가 넘어야 할 과제로 꼽혔다.
국민성장펀드의 대규모 확대와 범정부적 참여 선언에 따라, 향후 정책 실행과 민간투자 활성화를 둘러싼 정·재계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펀드 출범 후 시장 상황과 산업 동향을 지속 점검하며 추가 투자 기회를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