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천휴, 브로드웨이의 감동 재현”…토니상 트로피 품은 뉴욕 하루→벅차오른 동료와의 진심 순간
뉴욕의 햇살이 스며든 창가에서 박천휴 작가는 작은 알람 소리에 아침을 맞이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는 그의 모습에는, 오랜 무대를 버티며 다져온 성실함이 스며 있었다. 책장 한켠에는 2개월 만에 다시 마주한 토니상 트로피가, 잔잔한 감동과 함께 그의 방에 빛을 더했다. 수상 순간의 감동이 반복되는 듯, 박천휴 작가의 표정에는 기쁨과 놀라움이 그려졌고, 뉴욕이라는 도시의 꿈결 같은 풍경은 그의 감정에 더욱 깊은 여운을 보탰다.
그는 퇴근길 지하철에서도, 단골 카페의 유리창가에서도 늘 한 손 가득 책을 들고 있었다. “어렸을 때부터 활자 중독이었던 것 같아요”라는 고백은, 박천휴 작가의 일상에 스며든 창작자의 고뇌와 설렘을 말없이 증명해줬다. 평범한 뉴요커의 하루와 창작자의 감성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장면들이 방송을 타고 전달됐다.

방송에서 단연 가장 눈길을 끈 순간은 박천휴 작가가 수상 2달 만에 토니상 트로피를 조심스럽게 다시 손에 쥐는 장면이었다. 반짝이는 트로피를 바라보며 수줍게 웃는 그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공감을 안겼다. “어메이징”이라는 단 한 마디에, 14년 동안의 도전과 고군분투, 그리고 크리에이터로서의 인내가 응축돼 있었다.
이 감동은 동료와의 우정으로 배가됐다. 뮤지컬의 오랜 동지 윌 애런슨과 함께했기에 박천휴 작가는 그 동안의 수고와 땀방울을 더 의미 있게 나눌 수 있었다. 두 사람이 트로피 언박싱을 하며 건넨 짧은 농담과 샴페인으로 채운 축하 세리머니, 그리고 유쾌하게 이어진 대화는 오래된 동료의 진심이 촘촘히 아로새겨진 순간이었다.
브로드웨이 무대를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으로 수놓은 박천휴 작가의 삶은 토니상이라는 영광 뒤에 숨은 묵직한 고민과 진실한 일상, 그리고 동료와의 변함없는 신뢰로 채워졌다. 창작자라는 이름 아래, 그는 오늘도 새로운 영감과 하루의 순간들을 가슴에 품으며 다음 무대로 나아갈 준비를 하고 있었다.
박천휴 작가의 잊지 못할 수상 트로피와 진솔한 뉴욕 일상은 금요일 밤 11시 10분 ‘나 혼자 산다’에서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