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DA 신의료기술로 삼태아 자연분만”…분당서울대병원, 대량수혈 없이 성공
JADA 신의료기술이 삼태아(세쌍둥이) 임신 출산의 안정성을 끌어올리며, 고위험 임신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35주 3일 동안 삼태아 임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산모가 대량수혈, 자궁동맥색전술 등 추가적 조치 없이, JADA 시스템을 활용해 삼형제를 자연분만으로 출산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공은 고위험 다태임신 관리와 분만 기술 진화에 따른 안전한 출산 모델로 주목받는다. 의료계는 삼태아 자연분만이 국내 현실에서 드문 만큼, ‘고위험 출산 관리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박지윤 교수와 고위험산모태아집중치료실(MFICU) 팀은 하나정 씨(33)가 28일 분만을 시도할 당시, 임신 35주 3일을 무사히 넘긴 점, 각 태아의 폐 성숙도 및 발달상태를 정밀 분석해 최적의 시점을 포착했다. 실제로 삼태아 분만은 32~34주차 조산이 다수이나, 이보다 2주 가량 길게 유지해 세 아기 모두 출생 체중이 2.11㎏, 2.27㎏, 2.88㎏으로 미숙아 위험을 크게 낮췄다. 첫째는 신생아실, 둘째와 셋째는 신생아중환자실(NICU)에서 단기간의 호흡 보조 이후, 산모와 함께 3일 만에 건강하게 퇴원했다.

핵심 기술로 쓰인 'JADA' 시스템은 출산 직후 팽창된 자궁 내부를 음압(negative pressure suction)으로 신속하게 흡인, 자궁을 빠르게 수축시켜 출혈을 줄이는 신의료기술로 평가받는다. 이를 통해 기존 고위험 다태아 출산에서 불가피하던 대량수혈이나 자궁동맥색전술 없이 자연분만이 가능해졌다. 특히 기존 삼태아 분만의 과제였던 산모 출혈, 자궁무력증 등 위험을 최소화해 산모 및 신생아 모두의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시장성과 활용 맥락에서도 의미가 깊다. 국내에서는 조산 및 산후출혈 위험 탓에 삼태아 자연분만이 극히 드문 상황에서, 분당서울대병원은 MFICU와 JADA 등 혁신적 의료관리 체계를 토대로 제왕절개, 인큐베이터 치료에 의존하지 않는 출산을 실현했다. 박지윤 교수팀은 산모-태아 상태별 맞춤진료, 신생아 통합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시행해, 다른 모자병원·산과계의 벤치마킹 사례로 거론된다.
글로벌 선진국에서도 다태아 고위험 분만에 대한 자연분만 성공률은 극히 낮으며, 미국·일본·유럽 각국 역시 의료 인프라·의료진 숙련도·신의료기술 활용에 따라 성과 격차가 크다. 이에 비춰볼 때, 분당서울대병원의 삼태아 자연분만 사례는 국내 의료기술 및 산과 관리 수준이 세계적 수준임을 보여준다.
안전한 다태아 출산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도 주목받는다. 분당서울대병원이 권역모자의료센터로서 경기 남부권 분만 인프라를 책임지는 동시에 연간 약 1,000건 이상의 분만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고위험 임신·신생아 통합관리 역량 강화, 신의료기술 인증 확대 등 산모·신생아 건강 정책 논의가 한층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와 의료계 전문가들은 "JADA 등 신의료기술 접목이 다태아 등 고위험 임신에서도 기존 의료적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전국 단위 안착과 산모 맞춤 분만 확대로까지 이어질지는 임산부 육아지원 정책, 의료기관별 역량 강화, 현장 의료진의 숙련도에 좌우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분당서울대병원 사례가 실제 고위험 임신 관리 및 분만 서비스 표준화를 앞당길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진보에 맞는 의료 제도·윤리 간 균형이 출산안전성 향상의 관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