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예산 원안 처리하라"…광주시의회·산학연, 국민의힘에 정면 충돌
AI 예산을 둘러싼 여야 충돌이 지역 현장으로 번졌다. 광주시의회와 지역 산학연 단체가 국민의힘을 향해 AI 본예산 원안 처리를 촉구하며 정면으로 맞섰다.
광주시의회 인공지능 실증도시특별위원회와 광주 11개 산학연협의회는 25일 공동 성명을 내고 국민의힘을 향해 이재명 정부가 제출한 2026년도 AI 관련 본예산을 원안대로 처리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민의힘은 억지 주장을 거두고, 이재명 정부의 AI 예산안을 원안대로 처리하라"고 밝혔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2026년도 본예산을 통해 10조1천억원 규모의 AI 투자 결단을 내렸으나, 국민의힘이 국회 예산심사에서 '무늬만 AI 예산'이라며 삭감을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AI 예산 성격을 둘러싼 평가를 두고도 거친 표현이 나왔다. AI 실증도시특별위원회 등은 "국민의힘의 주장은 글로벌 경쟁의 최전선에서 분투하는 산업 현장의 절박함을 외면한 정치 공세이자, 국가 미래 성장 동력을 걷어차는 자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도 우려를 제기했다. 단체들은 "광주를 비롯한 지방은 AI를 통해 낙후된 산업 구조를 개편하고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며 "무분별한 삭감 주장은 지역균형발전의 희망과 국가 미래산업을 짓밟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정부 당시 연구개발 예산 논란도 소환했다. 성명은 "윤석열 정부 시절 근시안적인 연구·개발 예산 삭감이 연구 현장 붕괴와 인재 유출을 초래했던 전철을 반복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어 "AI 예산을 삭감한다면 그 역사적 책임은 국민의힘에 있으며, 광주시민과 함께 엄중히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국민의힘은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이재명 정부의 AI 관련 예산이 실질 투자와 괴리돼 있다며 구조조정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광주 지역 정치권과 산학연은 대규모 AI 투자를 미래산업과 지역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보고 있어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2026년도 예산안 심사를 이어가는 가운데, 여야가 AI 예산을 둘러싸고 어떤 절충점을 찾을지에 따라 지역 현장의 반발 수위와 정치적 파장도 달라질 전망이다. 국회는 정기국회 회기 내 예산 심의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AI 투자를 포함한 핵심 예산의 조정 폭을 놓고 막판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