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사로 협력 포기할 필요 없다”…이재명 대통령, 한일 관계 실용기조 강조
과거사 해법과 실용 외교 노선을 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정치권이 맞붙었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과거사 논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비판받더라도 할 수 있는 일은 해야 한다”는 원칙론을 내세우며 정면 돌파 의지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24일 일본에서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 내 기자간담회에서 “대한민국 국민 중 일부가 이 문제를 지적하는 것을 알고 있다. 그 같은 지적을 당할 각오도 했다”며 “과거사 문제나 영토 문제 등 반드시 시정해야 할 부분은 많지만, 그렇다고 경제·안보·기후·국민교류 등의 협력까지 모두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아무 것도 하지 말자고 주장하는 정치권의 풍조가 있다”며 “세상에 완벽하게 자기 뜻대로만 되는 일은 없다. 한꺼번에 다 이루지 못하더라도 부분적 진전은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우리가 얻은 것 중 손해 본 것은 없었다. 한 번에 완벽을 추구하다가 기회를 놓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과거사 외 주요 의제에 대한 실질 협력 필요성을 역설한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도 경쟁하면서 협력할 부분은 협력한다”며 투트랙 외교의 효용을 예시로 들었다.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회담에서 미일 협상 경험을 공유 받은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앞으로 세부 협력 방안에서도 양국이 긴밀히 조율해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재명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에서 이미 약간의 진척이 있었다. 상호 신뢰와 기대가 높아졌다”며 “조금씩 이해의 폭을 넓히고 배려를 키우면 더 전향적인 조치도 가능하다. ‘첫술에 배부르려다 체할 수도 있다’는 마음으로 시간이 주어지면 성과를 만들 자신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중 관계에 대한 질문에는 “외교에 친중·혐중이 어디 있느냐.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까워지고 아니면 멀어지는 것”이라며 “한미동맹이 외교의 근간이지만 중국과도 절연하며 살 수 없다. 중국과의 교류를 친중이라 부른다면 그 정도 친중은 얼마든지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특정 국가와만 손잡고 살아갈 수 없다. 앞으로도 국익과 유연성 중심으로 외교를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내에서는 한일 외교 전환 기조를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야권에서는 “과거사 해법 없는 협력론은 굴욕적”이라는 비판이 나온 반면, 여당 측은 “실질적인 국익을 위한 노선 변화”라고 맞섰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역동적인 외교 지형 변화가 단기 성과로 연결될지, 민심의 향방이 주목된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이날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중 주요 협력 의제, 한일·한미일 협력의 추가 논의 일정도 함께 안내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메시지와 실용 노선에 대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