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보잉기 100대 주문 추진”…이재명, 워싱턴DC서 기업외교 촉진
대한항공과 미국 보잉사의 대규모 항공기 구매 추진을 두고, 한국 항공 산업과 한미 경제 협력이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워싱턴DC 방문 기간에 대한항공이 보잉 항공기 약 100대를 주문할 계획임이 알려지면서 정치권과 재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로이터 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전한 바에 따르면, 이번 결정은 국내 항공사 역사상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로이터와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문에는 보잉 787, 777, 737 등 다양한 기종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4년 7월 영국 판버러 국제 에어쇼에서 보잉과 777-9 및 787-10 등 최대 50대 항공기 도입의 구매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조원태 회장 주도 하에 양사가 조속한 계약 이행을 약속하며, 총 249억 달러(34조6천억원) 규모의 항공기 구매 계약에 합의했다. 이번 주문 100대분에는 2년 전의 계약 일부가 포함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방미 경제외교 행보에 대한 평가가 분분하다.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과 보잉 상업용 항공기 부문 최고경영자(CEO) 스테파니 포프 역시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워싱턴DC 경제인 행사에 동행했다. 이에 대해 한편에서는 정부와 재계의 협력이 한미 경제 파트너십을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규모와 세부 계약조건, 정부 지원 여부를 둘러싼 꼼꼼한 검증 필요성도 제기된다. 보잉 측은 “구체 내용에 대해 별도 언급이 없다”며 신중론을 보였다.
주요 야당에서는 정부와 대기업 사이의 대규모 거래에 대해 산업계 독점 심화나 공정경쟁 저해 가능성을 짚는 의견을 내놨다. 반면 여당과 산업계는 “글로벌 물류·관광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 신호탄”이라는 평가를 내세운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한국 항공사의 대응력이 주목된다”며, 대규모 투자와 기술 협력 시너지 가능성을 지적했다. 시민사회 일부에선 치솟는 재정 부담 및 항공 산업 환경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주문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계기로 성사된 만큼, 향후 한미 경제 협력의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국내항공 산업의 체질 개선과 시장지배력 변화, 일자리 창출 등 국내외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이번 결정의 실질적 효과와 후속 조치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